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20. 소아물리치료 - 소아관련질환 - 뇌성마비 임상증상

소아물리치료

by 올선 2021. 1. 23. 23:40

본문

728x90

안녕하세요! 복습하는 물리치료사 올선입니다.

5개의 소아물리치료 게시글을 마칠 때마다 하나씩 저의 개인적인 취향을 담은 강연, 책, 기사 추천 글을 업로드하는데요, 오늘은 20번째 소아물리치료 게시글이어서 벌써 다음으로 무엇을 추천할지 설레고 있는 중이랍니다.

작업하실 때는 주로 어떤 플레이리스트를 들으시며 작업을 하시나요? 매일 찾아와주시는 여러분의 취향도 궁금해지는 하루네요.

저번 뇌성마비 분류에 대한 게시글에 이어 오늘은 뇌성마비의 임상증상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임상증상에 대해 운동장애, 운동장애 형태에 따른 임상증상, 동반장애의 순서로 함께 알아보아요!

뇌성마비 아동의 주요한 증상은 뇌성마비의 정의에서도 알 수 있듯이

17. 소아물리치료 - 소아관련질환 - 뇌성마비 개요(정의, 임상양상) (tistory.com)

 

17. 소아물리치료 - 소아관련질환 - 뇌성마비 개요(정의, 임상양상)

안녕하세요? 복습하는 물리치료사 올선입니다! 오늘은 소아관련질환 파트의 첫번째 게시글로 찾아뵙게 되었네요! 오늘 게시글을 포함하여 앞으로 다룰 소아관련 질환은 '뇌성마비, 다운증후군,

pt-olsun.tistory.com

움직임에 대한 어려움(그리고 그에 따른 활동제한)입니다.

현문사의 <소아물리치료 진단과 중재>(2018)에서는 뇌성마비 아동들의 주요한 운동장애의 형태를 3가지로 나누어 설명합니다.

바로 일차적손상, 이차적손상, 삼차적손상인데요,

일차적 손상은 중추신경계 손상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문제입니다. 

뇌성마비 아동들은 중추신경계 손상으로 근긴장도, 균형능력, 근력, 선택적인 움직임, 감각에 대한 문제를 겪습니다.

이차적 손상은 이러한 일차적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근긴장도의 문제로 인해 근육의 구축이 발생하고, 또 그로인해 뼈의 변형이 발생합니다.

뇌성마비 아동의 치료는 아동의 성장기인 중고등학생이 되면 더욱 어려움을 겪게되는데요, 바로 이러한 이차적 손상때문입니다. 근육이 신장을 해야 성장을 하는데, 근긴장도의 이상, 근육 조절의 어려움, 약화된 근력, 균형 능력의 저하로 인하여 뛰어다니고 구르는 놀이활동을 할 수 없게되고, 근육들이 충분히 신장되지 못합니다. 이로인해 뼈대 또한 변형이 나타나는 것이지요.

삼차적 손상은 이차적 손상에 의한 적응과정에서 나타납니다.

예를 들어, 장딴지 근육에 지속적인 강직이 발생하다보면 발바닥굽힘 구축이 나타나고, 그 상태에서 서 있거나 보행을 하면 무릎의 과다폄이 발생하여 젖힌무릎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를 3차적 손상이라고 합니다.

 

강직형 뇌성마비에 대해 알기 위해서는 강직의 정의를 아는 것이 필요합니다.

강직(spasticity) '근육의 수동적 신장시 나타나는 속도에 의존적인 저항'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강직형 뇌성마비는 반신마비, 양하지마비, 팔다리마비로 나누어 알아보겠습니다.

강직형 반신마비

몸의 한쪽에 강직이 더 발생한 것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다리보다 팔에 더 심하게 침범됩니다. 

비교적 예후가 좋아 일상생활 기능에는 큰 문제가 없는 경우가 많으며, 3세 전후로 보행이 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함께 동반될 수 있는 질환으로는 간질, 학습장애 또는 행동장애 등이 있습니다.

의사소통 기능에는 문제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근골격계의 문제는 어깨가 모음, 안쪽돌림이 나타나며 팔꿈치는 굽힘, 손바닥은 엎침, 손목과 손가락의 굽힘이 많이 나타납니다.

아동이 손을 거의 사용하지 않으면 엄지손가락이 손바닥 쪽으로 들어가서 기능적인 어려움이 발생하기도합니다.

다리에서는 엉덩관절의 모음과 안쪽돌림이 나타나고 무릎은 굽힘 또는 폄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발목에서는 안쪽번짐이 나타나는게 일반적입니다.

대다수의 반신마비 아동은 침범된 다리가 위축되고 약간 짧은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신발밑창을 높여주는 치료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보행할 때 발이 끌리지 않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강직형 양하지마비

다리에 심하게 침범되고 은 소운동기능에 문제가 있는 정도의 중간 이하의 손상인 경우를 말합니다.

양하지마비는 강직형 뇌성마비의 약 50%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합니다.

일반적으로 인지에는 큰 문제가 없는 경우가 많으며 간질이나 시지각 문제를 보이는 경우는 종종 있습니다.

보통 이른둥이로 태어난 저체중출생아들이 많음 병리학적 소견상 뇌실주변 백질연화증인 경우가 많습니다.

중등도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보행에 대한 어려움이 주호소이며 치료에 효과가 좋은 경우가 많습니다.

강직형 팔다리마비

팔다리와 몸통에 모두 침범한 경우를 말합니다.

입과 혀, 인두까지 침범한 경우도 많습니다.

팔다리 마비 중에서도 다리가 더 심한 경우는 이른둥이에게 많이 나타납니다.

일부는 저산소 허혈성 뇌손상으로 인해 나타나기도 합니다.

운동이상형 뇌성마비

움직임을 시작하려고 할 때, 원하지 않는 근육들도 함께 움직이는 경우를 말합니다. 전체 뇌성마비의 약 15%를 차지합니다. 일반적으로 움직임의 문제와 함께 발음장애침흘림의 문제가 많이 나타납니다.

인지기능은 대부분 문제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심한 발음장애로 인하여 인지기능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오해를 받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고빌리루빈혈증이나 심한 저산소증바닥핵 손상을 일으켜 나타나는 경우가 일반적이며,

근긴장 이상형무도-무정위운동형으로 세분하여 구분합니다.

실조형뇌성마비

균형과 협응에 문제가 나타나며 전반적인 신체의 긴장도가 떨어지는 저긴장이 나타납니다.

보행이 가능한 경우, 발넓이를 넓게해서 걷는 경우가 많습니다. 근장도가 떨어지고 협응력이 떨어지다보니 소근육 활동에 많은 문제점을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소뇌 손상과 연관이 되어 있습니다.

실조형 걸음은 굉장히 걸음걸이가 특징적이기 때문에 동영상을 보며 익히면 좋을 것 같아 동영상자료를 찾아두었으니 댓글을 확인해 함께 참고하며 공부하시길 바랍니다.

뇌성마비의 동반장애로는

지적장애, 간질성경기, 감각장애, 심리적인 문제, 삼킴장애가 있습니다.

지적장애로 인해 지적발달이 지연되며, 학습장애를 동반하게됩니다. 주로 강직형 팔다리마비 아동에게 나타는 동반장애입니다.

간질성경기는 몸 전체를 침범한 경우 자주 나타납니다. 반신마비, 지적장애동반, 출생 후 손상 시 빈번하게 나타납니다. 간질이 있는 경우 뇌파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으며 약물 복용을 통해 조절이 가능한 경우도 있지만, 약물이 효과적이지 못한 경우도 상당히 많아 케톤식이 요법 등을 실시하기도 합니다.

최근에는 이러한 간질성 경기를 치료하기 위하여 CBD라는 칸나비디올(대마원료의 성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고합니다. 간질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한 노력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감각장애의 경우 뇌성마비 아동은 시작장애청각장애를 동반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전체 뇌성마비 아동의 약 40%에서 시각장애나 안구조절에 문제가 있어 시각적인 문제를 보입니다. 일반적으로 안구움직임의 장애로 인한 시각장애이며, 근시를 동반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청각장애는 뇌성마비의 연관성이 그리 크지 않으나 조산으로 태어난 아이에게 발생할 확률이 높습니다.

삼킴장애는 일반적으로 빨고, 씹고, 삼키는 것에 대한 어려움을 갖고 있습니다.

이는 영양섭취에 어려움이 발생해 성장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 침흘림으로인해 위생의 어려움을 겪을 수 있고, 발음장애로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유발할 수 있씁니다. 특히 강직형 팔다리마비의 경우 영양섭취에 많은 문제를 겪어 생존기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게 됩니다.

우리가 가장 돌아보아야 할 동반장애의 문제로 심리적인 문제가 있습니다.

뇌성마비 장애는 아동과 그 가족에게 극단적인 심리적 스트레스를 지속적으로 주게 됩니다.

이러한 상태는 아동의 불안, 우울, 과잉 행동 등을 유발하는데, 일러한 스트레스를 해고하고 탈피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가족 간의 신뢰와 결속력, 경제적인 지원, 사회적인 관계 형성이 중요합니다. 현문사의<소아물리치료 진단과 중재>(2018)에서는 그 점에 대해 강조하며 치료사가 아동과 가족이 미래에 대한 적절한 준비를 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부모-아동의 관계강화, 다른 가족과의 관계 형성을 위한 노력을 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교훈합니다.

 

이렇게 오늘은 뇌성마비의 임상증상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중간중간 더욱 심화적인 내용을 담은 표를 삽입하였는데,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오늘도 게시글은 퀴즈를 통해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정답은 댓글을 통해 확인해주세요.

오늘도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뇌성마비 아동의 운동장애를 세 단계로 나누어 설명하면?

* 강직형 뇌성마비 중 강직형반신마비, 강직형 양하지마비, 강직형 팔다리마비의 임상증상은?

* 운동이상형 뇌성마비의 임상증상은?

* 실조형 뇌성마비의 임상증상은?

 

출처)

소아물리치료편찬위원회(현문사,2018)<소아물리치료 진단과 중재>129~133p

신경계질환물리치료중재학편찬위원회(현문사,2018)<신경계질환 물리치료 중재학>123~131p

 

728x90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