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복습하는 물리치료사 올선입니다.
오늘은 중간볼기근(중둔근)과 궁둥구멍근의 작용을 비교해보라는 말씀에 따라 두 근육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공부했습니다. 어떻게 하면 좌골신경통을 유발하는 궁둥구멍근을 비교적 덜 자극하며 중둔근 운동을 할 수 있을까요?
먼저 답은 옆으로 누운 자세에서 무릎과 발목을 붙이고, 무릎을 붙였다가 떼면서넙다리를 벌렸다가 모으는 동작을 반복함으로 그렇게 할 수 있습니다.
원리가 무엇일까요.
gluteus medius m. 과 piriformis m.은 서로 매우 인접해 있는 근육들입니다.
두 근육의 작용도 매우 비슷합니다.
그러나 두 근육이 강화되었을 때의 결과는 서로 너무나 다릅니다.
piriformis는 평소에도 쉽게 짧아져 좌골신경통을 유발하는 통증의 원인이 되는 반면
gluteus medius는 보행 시 trunk의 안정성을 증가시키며 보행과정에 있어 매우 중요한 작용을 합니다.
piriformis는 깊은가쪽돌림근입니다.
Origin: 엉치뼈의 앞쪽(anterior sacrum)
Insertion: 넙다리뼈의 큰돌기(greater trochanter)
작용: 넙다리를 가쪽으로 돌린다. 넙다리를 수평으로 편다. 넙다리를 안쪽으로 돌린다*. 반대쪽으로 골반을 돌린다.
gluteus medius m.은 볼기근입니다.
Origin: 엉덩뼈의 바깥(external ilium)
Insertion: 넙다리뼈의 큰돌기(greater trochanter)
작용: 넙다리를 벌린다. 넙다리를 편다(뒤쪽 섬유), 넙다리를 구부린다(앞쪽섬유), 넙다리를 가쪽으로 돌린다(뒤쪽섬유), 넙다리를 안쪽으로 돌린다(앞쪽섬유), 같은쪽 골반을 내린다. 골반을 뒤쪽으로 기울인다. 골반을 앞쪽으로 기울인다. 골반을 반대쪽으로 돌린다.(pelvic movement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음)
그런데 이런 비슷한 작용에서도 piriformis에는 한가지 조건사항이 붙는데요,
바로 넙다리를 안쪽으로 돌리는 작용을 하기 위해서(interal rot.)
넙다리가 먼저 약 60도 이상 벌어져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side lying position에서 발목을 붙이고 무릎을 붙였다가 떼며 넙다리를 interal rot. external rot. 반복하는 동작을 통해 근력강화 운동을 할 때 piriformis m.의 작용을 줄이며 gluteus medius m.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
궁둥구멍근과 중간볼기근에 대해 알아가고 그 차이점을 이해할 수 있는 시간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오늘도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출처)
이미지: Atlas(app)
권오윤 외(대한나래출판사, 2014), <기능해부학 근육, 뼈대, 촉진법>, 347, 352p
#24 소아임상 *Pectoralis major VS minor* (0) | 2021.03.05 |
---|---|
#23 소아임상, *neck movement단계, syndrome* (0) | 2021.03.03 |
#21 소아임상, *고유수용성감각VS체성감각* (0) | 2021.02.27 |
#20 소아임상, *뇌성마비point3* (0) | 2021.02.25 |
#19 소아임상, *뇌성마비point 2* (0) | 2021.02.24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