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물리치료

10. 소아물리치료 - 성장과 발달 - 기능적 움직임의 발달 - 태아의 발달 - 재태기간별발달

올선 2021. 1. 11. 19:56
728x90

 

 

안녕하세요? 저는 복습하는 물리치료사 올선입니다.

오늘도 이렇게 함께 소아물리치료를 공부할 수 있는 분들이 있어 정말 기쁩니다.

다들 조용히 다녀가시지만 조금씩 늘어나는 방문자수를 보며 이렇게 열심히 공부하는 분들이 있다는 사실에 격려를 받곤 한답니다. 

우리 저번 게시글에서 성장과 발달을 모두 마쳤었죠?

오늘은 'chapter 5 기능적 움직임의 발달'을 시작하겠습니다.

 

 

태아의 발달에서 재태기간별 발달 부분은 가볍게 태아의 발달에 대한 개요를 살펴보는 부분이라고 생각하시면됩니다.

주로 중요하게 강조받는 부분은 신경계발달이랑 대동작발달, 소동작발달이기때문에

암기하려고 지나치게 많은 에너지를 쏟지는 않으셔도 되어요.

다만 '이런 순서들을 가지고 이런 과정을 거쳐 태아가 발달하는구나~' 정도로만 가볍게 알아가시면 좋겠습니다.

 

재태기간 10개월동안 태아는 새로운 환경에 적응할 준비, 즉 양수가 아닌 중력을 받는 자궁 밖의 환경에서 적응하며 살아갈 준비를 합니다. 태아의 신체기관들은 전하지는 않지만, 자궁 내에서나 태어났을 때 올바르게 기능을 다할 수 있도록 변화를 거듭하며 지속적으로 성장합니다.

 

 

 

수정란은 미세하지만 왕성한 세포분열을 거듭하며 5~7일 사이에 자궁 내막에 착상하는데요, 2주차에 재결합된 세포들은 3중 구조를 형성합니다. 이 3중구조에서 태아의 중요한 기관들이 생겨납니다.

 

 

자궁 내에서 2개월 정도 자란 배아*가 태아의 상태에 가까워지면, 신경계를 제외한 대부분의 기관이 형태학상으로는 정상적으로 발달해 일정한 형태를 갖추기 시작합니다. 그러나 아직 그 기능이 완전하다고 인정하기는 어렵습니다. 이미 독립적으로 제 역할을 수행하는 기관도 있지만, 그렇지 못한 것도 있기 때문입니다.

*배아

배아란 접합체가 한 번 이상 세포분열을 하기 시작한 시기부터 하나의 완전한 개체가 되기 전까지의 발생 초기 단계이다.

난할을 시작한 이후의 개체. 사람의 경우는 7주가 넘어가면 태아라고 한다.

모든 기관들이 제 기능을 할 준비가 되었더라도, 중요한 변화들은 출생 후에도 계속 진행됩니다. 태아의 각 신체기관 구성은 임신 2개월이면 어느 정도 이뤄지지만, 완성되려면 7개월 이상은 되어야합니다.

 

 

발생의 첫 단계, 수정과정은 어떤 순서로 이뤄질까요?

수정이란 정자의 머리와 난자의 핵이 융합하여 수정란이 형성되는 것을 의미하며, 수정란에는 23개씩 46개의 염색체가 들어있습니다. 염색체는 2만~2만 5천 개의 유전자를 가지고 있으며, 성별은 23번 성염색체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는 버지의 염색체에 결정되는데, XX의 경우 여성로, XY의 경우 남성으로 결정됩니다.(Y염색체가 아버지부터만 올 수 있기 때문에 성별을 결정짓는 것을 아버지의 성염색체가 좌우하는 것입니다.)

 

 

정자의 이동경로는 질 -> 자궁경부 -> 자궁 -> 나팔관(수정까지 약 10시간 소요)입니다.

수정 후 복제염색체를 만들며 세포분열이 시작되는데, 이후 4~5일 경을 포배기라고 합니다.

 

 

 

수정란은 빠르게 분열되고 포배태반태아가 됩니다.(왼측 이미지가 포배입니다.) 이때의 세포를 줄기세포라고 하는데, 자라서 몸의 각 부분을 형성하는 중요한 세포입니다. 일주일이 지나면 포배기 상태의 수정란이 자궁에 도착하며, 수정란의 외벽은 태반이 되고 내세포는 태아가 됩니다.

(배아기와 태아기는 국가고시 기출임으로 구분할 수 있어야 합니다.

배아기: 임신 2개월까지, 태아기: 임신 3개월~출생전)

 

 

<생식에의 변화과정>을 주제로 초기발생과 태아의 발달에 대하여 중요한 부분들을 더 자세히 알아보고 싶은 분들을 위해 초기발생부터 분할까지의 심화내용에 대해 적고 가겠습니다.

<생식에서의 변화과정>

1) 초기발생: 배우자(난자, 정자) 형성 -> 수정 -> 분할(2세포기->4세포기->8세포기->상실기->포배기->낭배기) ->신경배

2) 정자와 난자의 수정부위: 자궁관팽대(V국가고시에서 자주 오답을 답하는 부분, 자궁이 아니라 자궁관팽대.)

3) 수정란의 착상: 수정 후 7일경 자궁몸통의의 뒤벽에서 이루어짐

4) 태동: 임신 4개월

태아심음(심장소리) 인지되는 시기: 임신 5개월

5) 태아와 모체의 물질교환 장소: 태반(placenta)

6) 신생아의 신장과 체중: 50cm, 3kg

7) 난자의 보호벽: 부챗관 -> 투명층

8) 분할: 세포기 -> 상실기 -> 포배기 -> 낭배기 순

 

지금까지 태아의 재태기간별 발달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게시글에서는 주차별 발달학적 특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제 퀴즈로 게시글을 마무리할게요~

퀴즈의 답은 댓글을 통해 확인해주세요..!

* 총 재태기간은?

* 3중구조를 형성하는 시기는?

* 배아가 태아의 상태와 가까워지며, 일정한 형태를 갖추게 되는 시기는?

* 수정란에서 염색체는 몇쌍, 몇 개인가?

* 포배에서 태반과 태아가 되는 부위는?

* 수정란의 분할순서는?


자료출처)
‘소아물리치료의 진단과 중재’, 소아물리치료편찬위원회, 현문사, 2018.08.30, 92p
‘2019 국시사례형 실기문제 완벽대비 물리치료학 해부생리학1’, 퍼시픽북스 학술편찬국, 퍼시픽북스, 2019.05.20, 41p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