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 소아물리치료 - 소아관련질환 - 뇌성마비 보행분류

안녕하세요! 복습하는 물리치료사 올선입니다.
오늘은 날씨가 비교적 따뜻했다고하네요.
코로나로 인해 집에 오래 머물다보니 날씨의 변화를 쉽게 알아차리지 못했답니다.
다들 이따금씩 산책을 하시나요? 내일부터는 날씨가 다시 추워진다고하니 밖에 나가야 할 일정이 있으신 분들은 옷을 따뜻하게 입고 가셔야겠어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뇌성마비 분류에 따른 보행분류가 주제입니다.
강직형 반신마비에 대한 보행분류, 강직형 양하지마비에 대한 보행분류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첫번째로, 강직형 반신마비에 대한 보행분류는
유형1, 유형2A, 유형2B, 유형3, 유형4이 있습니다. 이러한 분류는 Rodda(2001)와 Graham의 보행분류입니다.
유형1은
처진발입니다. 처진발은 보행주기 중 흔듦기 때 확실하게 발바닥굽힘이 나타나면서 엉덩관절과 무릎관절의 굽힘이 과도해지지만 디딤기에는 적절한 발등굽힘이 나타나면 특별한 문제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주로 앞 정강근의 근력약화나 선택적 조절의 어려움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조기: 관절형 짧은다리보조기(hinged AFO), PLS짧은다리보조기(Posterior leaf spring AFO)
유형2는
참꿈치들린휜발입니다. 장딴지 근육에 있는 강직이나 구축 때문에 꿈치들린휜발 변형이 발생한 경우로 강직형 반신마비 중에서 가장 일반적인 형태입니다.
무릎의 위치에 따라 2A와 2B로 나누어지는데, 2A는 무릎이 중립이고 엉덩관절폄이 같이 있는 경우, 2B는 젖힌 무릎이 보이는 경우입니다.
2B의 경우 흔듦기에서 발이 끌리는 경향이 나타나기 때문에 엉덩관절을 과도하게 굽히는 경향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디딤기에도 발바닥굽힘이 나타나게 됩니다.
의학적중재: 보톡스, 장딴지근육의 연장술
보조기: 관절형 짧은다리보조기(hinged AFO), PLS짧은다리보조기(Posterior leaf spring AFO)
유형 3은
참꿈치들린휜발/뛰기무릎입니다. 유형 2처럼 장딴지근육의 강직과 구축으로 발목의 발등굽힘에 제한이 있습니다.
그러나 유형 2와 다르게 넙다리뒤근과 넙다리네갈래근의 동시수축으로 인하여 무릎의 움직임이 줄어드는 문제가 더해져 보행주기 전반에서 무릎의 full ROM이 45도 이하로 나타납니다.
의학적중재: 보톡스
보조기: 고정형 또는 관절형 짧은다리보조기(solid or hinged AFO)
유형 4는
꿈치들린휜발/뛰기무릎, - 골반회전, 엉덩관절굽힘 모음, 안쪽돌림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주로 발목과 무릎 쪽에 있던 변형이 몸 가까운 쪽까지 영향을 미치는 단계입니다.
무릎은 약간 굽혀진 상태에서 움직임이 매우 부족한 뻣뻣한 모습으로 보행을 합니다.
그에 더해 골반 앞쪽경사와 엉덩관절의 움직임 치우침이 생깁니다. (양하지마비 아동과 같은 양상)
의학적 중재: 근육힘줄연장술, 뼈 변형에 대한 수술
보조기: 고정형 짧은다리보조기, 지면반발 짧은다리 보조기

두번째는 강직형양하지마비에 대한 보행 분류입니다.
강직형양하지마비의 보행분류는 유형1, 유형2A, 유형3, 유형4, 유형5가 있습니다.
유형 1은
참꿈치들린휜발은 발목에서 뒤꿈치들림 변형이 보입니다.
무릎은 완전히 폄 되어 있는 경우가 많지만, 젖힌무릎으로 발전할 수 있다고 합니다.
엉덩관절은 완전히 폄 되고 골반은 정상범위이거나 약간 전방경사가 되어 있습니다.
의학적중재: 장딴지근의 보톡스, 연장술
보조기: 관절형, 고정형 짧은다리 보조기
유형 2A는
뛰기보행 유형은 가장 일반적인 패턴입니다.
발목의 강직으로 인해 꿈치들림휜발 변형이 발생하며 무릎과 엉덩관절 굽힘의 증가의 변형이 함께 나타나게 됩니다.
이는 허리앞굽음증으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의학적 중재: 선택적 후근절제술
보조기: 관절형 짧은다리보조기, 지면반발 짧은다리보조기
유형 3은
겉보기꿈치들린휜발에서 발목은 정상범위이지만 무릎과 엉덩관절이 전체 디딤기에 걸쳐 과도한 굽힘이 나타납니다.
골반은 정상이거나 전방경사됩니다. 유형 2와 비슷하게 보이지만 발목의 문제보다는 무릎과 엉덩관절을 더 중요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넙다리뒤근과 엉덩허리근에 초점을 두어 근육길이 확보를 하여야합니다.
보조기: 관절형 또는 지면반발 짧은다리보조기
유형4는
웅크림보행입니다. 웅크림보행은 양하지마비에서 가장 심각한 보행장애 상태입니다.
디딤기 전반에 걸쳐 발목은 과도한 발등굽힘이 되고 무릎과 엉덩관절도 과도한 굽힘이 있습니다.
골반은 정상이거나 후방경상됩니다.
넙다리근육과 엉덩허리근에 대한 고려없이 장딴지근육에 보톡스 치료만을 집중하게 되면 쉽게 발생합니다.
의학적 중재: 넙다리뒤근육과 엉덩허리근 보톡스
보조기: 지면반발 짧은다리보조기 장기간 착용
유형 5는
비대칭보행은 보행 패턴이 좌우가 다르게 나타납니다.
지금까지 이렇게 뇌성마비 분류에 따른 보행분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국가고시에는 이렇게 자세히 나오지 않지만, 개인적으로 더 공부하고 싶은 마음이 있어 포스팅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저처럼 국가고시 외적으로도 뇌성마비에 대해 더 자세히 공부하고 싶은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다음 게시글에서는 뇌성마비 아동에게 보톡스 적용하는 원리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게시글은 퀴즈로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빈칸에 들어갈 내용을 기억하실 수 있나요?
정답은 댓글에서 확인해주시길 바랍니다.


출처)
소아물리치료편찬위원회, 현문사(2018), <소아물리치료 진단과 중재>144~148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