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소아임상, *정상발달 point(0~6)*

안녕하세요! 복습하는 물리치료사 올선입니다.
오늘은 정상발달과정에서 중요하게 짚어주신 부분들을 공부한 내용을 간단히 복습하고 마치겠습니다.
태아 28주 - 폐에서 계면활성제 생김. 이전에 태어나면 호흡이 어려울 수.
소아 발달 원칙 - (1) 체중이 실리는 곳 먼저 발달 (2) 머리측->꼬리측 (3)근위->원위
1~3개월 - random movement로 인해 physiolosical flexion 자세에서 중력방향으로 조금 이완된 자세, 다시 flexion 패턴 반복 -> 점차 중력방향으로 이완이 됨(초기 소아는 flexion패턴이 강해 supine자세에서도 발이 바닥에 닿지않음)
--> 1개월: pull to sit에서 머리가 뒤로 젖혀짐(extensor(X), 단지 mobility 증가), 다리를 구부린 자세, flexor근육사용(X) 생리적 flexion패턴, automatic walking 감소
4~6개월 - 대칭적, rolling(newborn은 segmental motion 불가, log rolling), forearm support, extensor
7~9개월 - 독립적인 앉기, creeping, crawling, rotation, dynamic, 3-D pelvic
10~12개월 - gait, selective movement
1개월이하 시각 한쪽으로만 보다가 2개월부터 양쪽 시각 동시 사용 가능
1개월이하 tracking검사 - lateral side 에서 midline으로
2개월 tracking검사 - midline에서 lateral side로
3개월 head control stability 증진, 눈으로 손을 보며 connection증가(걸터앉기: dorsiflexion ~ knee flexion ~ pelvic anterior tilting/)
4개월 상지하지분리, 우연치 않게 rolling- 비로소 납작하던 trunk 둥근모양으로 rib cage 모양 형성. 이게 안될 시 reverse breath, 횡격막이 붙어 있는 구조물 중 다른 골격은 움직이지 못하고 연골로 이루어진 칼돌기 부위가 쑥 들어가서 오히려 호흡을 들이마실 때 배가 쑥 들어가고 내쉴때 배가 나옴.
5개월 눈의 방향 반대쪽으로 체중지지 비로소 reaching가능 (이전에는 눈이 가는 쪽으로 무게를 실어 지지하느라 reaching불가), 란다우position: standing을 위한 항중력근 최대로 사용, glueus m.까지 강화, midline안에서 운동 경험. 이런 운동경험이 없을 시 걷기에서 BOS넓어진 자세의 걷기, (syndrome 아동, 특히 다운증후군아동에게서 보임.)
6개월 - log rolling(몸전체가 함께 구르기) 벗어나 segmental rolling(머리 돌아가고, 팔이 돌아가고, 몸통이 돌아가고...)
prone자세에서 많이 놀아야 함. 배밀이 뒤로가기, 배밀이 초기에는 괜찮음(기존의 팔꿈치 지지 - 양손지지 - 배밀이 모두 미는 운동패턴), 그러나 이후에도 계속 바뀌지 않으면 자세한 검사가 필요함.
사경아동, 사경쪽으로 side lying 잘 안함
side lying -> 옆 reaching (+) 뒤까지 볼 수 있어서 trunk 충분한 스트레칭이 가능한 것. position changing중요.
6개월의 보호반응, 앞, 옆, 뒤 중 (앞)만 가능(낙하산반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