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

#8 소아임상, *CP lordosis 원인, arch 무너짐 원인*

올선 2021. 2. 9. 00:07
728x90

 

 

안녕하세요! 복습하는 물리치료사 올선입니다.

오늘의 주제는 CP lordosis의 원인, arch무너짐 원인입니다.

감사합니다.

 

*CP분류 요약

Spastic: Hemiplegia(한쪽 팔다리 심한침범), Diplegia(팔다리침범, 다리가 더 심함), -> regional / Quadriplegia(전신침범, trunk까지 침범, 하지로 내려갈수록 침범이 심해짐), -> Global involvment

Dyskinetic: Athetoid(약한 침범, 느린비틀림운동), Dystonic(약한침범, 긴장이상형), Ataxic(약한침범, 실조형) -> Global involvment

*

PVL, IVH

PVL: 뇌실주위 백질 연화증(미숙아의 뇌실 주위)
뇌의 혈류 감소로 인한 산소결핍-> 뇌실주변의 백질 부위에 뇌백질 괴사
(저산소 허혈성 대뇌 외상으로 인한 뇌실 주변 백질에 손상)->뇌성마비 발병, MRI로 확인.
일반적원인: 30주미만 조산, 주산기 가사(호흡곤란), 저산소증, 기계적환기..
증상: 소리, 음성 반응 늦음/ 9개월동안 발성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음

[출처] 뇌성마비/ PVL/뇌실주위백질연화증|작성자 SLP옹닝

ㅎ.ㅎ : 네이버 블로그

당신의 모든 기록을 담는 공간

blog.naver.com

IVH: 뇌실내 출혈, 원발성의 뇌실내출혈은 대단히 드물며, 대부분은 동정맥기형이나 뇌동맥류의 파열, 시상부 출혈, 대뇌기저핵출혈에 속발하는 것이다. 측뇌실로의 전파가 가장 많으나 예후는 뇌간병변에 속발하여 제4뇌실에 천파(穿)하였을 때가 가장 불량이다. 뇌실출혈의 특징은, 깊은 의식장애, 사지마비, 호흡이상, 발열, pinpoint pupil, 발한, 기타의 자율신경증상, 혈성수액 운동불안, 경련 등을 볼 수가 있다. CT스캔으로 발견되어, 조기에 적절한 조치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위험한 단계)Ⅲ 뇌실 확장이 동반된 상태

Ⅳ 뇌실 내 출혈이 뇌실질까지 확장된 상태

[네이버 지식백과] 뇌실내출혈 [intraventricular hemorrhage, 腦室内出血, Ventrikelblutung] (간호학대사전, 1996. 3. 1., 대한간호학회)

18. 소아물리치료 - 소아관련질환 - 뇌성마비 원인 (tistory.com)

18. 소아물리치료 - 소아관련질환 - 뇌성마비 원인

안녕하세요! 복습하는 물리치료사 올선입니다. 다들 즐거운 하루 보내셨나요? 벌써 1월 21일이에요. 블로그를 시작한 후 작성한 게시글도 21개가 되었겠군요! 작게 조금씩 모은 성과들을 보며 뿌

pt-olsun.tistory.com

 

*일부 Lordosis 원인

diplegia의 일부 lordosis의 원인을 벤치에서 일어나기 동작에서 볼 때

1) sitting에서 trunk의 힘이 약해 erector muslce 약함

2) pelvic posterior tilting, pelvic upright 되지 않음

3) 일어나려고 체중을 앞으로 이동하기 위해 trunk 과하게 flexion

4) neck이 앞으로 가져오게됨(chin tuck이 안됨)

5) quadriceps에 힘을 충분히 주지 못함

6) 발을 뒤로 끌어 가져오고 허리를 피며 바르게 위로 올라오는 것이 아니라, 무릎을 폄하는 동작으로 의자에서 일어남

7) lordosis 증가된 자세 발생

* arch 무너짐 일부 원인

여러 원인들이 있음. 그중 양하지마비diplegia의 arch무너짐 일부 원인?

trunk약함, back knee나타남 => adductor 많이 씀(보상적) => 발의 medial 무게지지 => arch무너짐.

arch무너짐을 치료하기 위해 단지 발목, 발만을 중재해서는 안됨..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