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소아임상, *뇌성마비point 2*
안녕하세요? 복습하는 물리치료사 올선입니다!
오늘은 뇌성마비 분류 중 spastic type, quadriplegia, spastic hemiplegia, ataxia type에 대해 공부했습니다.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normal muscle tone
(1) 의도적으로 움직이고자 할 때 움직임을 가질 수 있을 만큼 톤이 높음
(2)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을만큼 톤이 낮음
* spasticity
(1) 운동장애
(2) 속도의존
(3) muslce spinde 자극시 tone이 높아짐
(즉, 검사 시 빠른 속도 중요!)
* muscle tone과 CP type
* muscle spindle, GTO (근방추와 골지힘줄기관)
muscle spindle은 빠르게 스트레칭 될 때, 과하게 스트레칭 될 때 도리어 근육을 수축하게 만든다.
따라서 CP아동 스트레칭 시에 muscle spindle이 자극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방법: rotation만 일어난다고 인식하도록 squeeze이용하기, GTO를 도리어 자극해 stretch 유발하기(힘줄자극, 갈릴레오)
* Spastic quadriplegia
~~survival function(feeding, breathing, 심장근육..) 훈련 먼저~~
~~total pattern with hypertonus~~
limited sensory channel, 감통치료
fullterm(lesion of cerebral)이 preterm(lesion of subcortical region)보다 severe한 경우 많음
arousal level 높이는 법, 일단 머리가 바닥에 닿으면X prone이든 supported sitting이든 머리를 높여줘야(최대한 항중력자세), 저작근마사지, head control
* spastic hemiplegia
~~Formula of S.H~~
A. Too much asymmetry: (neglect 환측무시)
B. Can be used but not be used voluntarily: (지시할때만 사용함. 감각 좌우 다름. body scheme 인식저하)
C. Functional bur low quality of movement: (voluntary한데 quality가 저하. 분리되지않은 움직임, 조리있게사용X)
D. Fuctional bilateral using but speed problems: (공이 날아올때 손 뻗는 쪽)
+) hemi=> shift midline orientation (less affected)
A.R / A.M
developed asymmery, seizure
(fullterm: hypernonus/ preterm: spastic도 있고 몸통근력도 약함/ Acquired: 후천적뇌손상, hypertone. 3세이후손상)
more affected side: AR/ less affected side: AM
* Ataxia type
poor coordination, unsteadiness / (소뇌) feedback, feedforward. 스타카토식 발음,
head, trunk sway - 눈고정X 안구진탕증
poor trunk dynamic stability - lack of co-activation, poor R.R, E.R, P.R
넘어질 때 머리 보호하는 반응이 없어 심하게 넘어짐. 타이밍 잡아주기 연습 중요.
(total - quadri, mass - athe, atax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