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물리치료

5. 소아물리치료 - 성장과 발달 - 반사운동 - 척수반사

올선 2021. 1. 5. 20:26
728x90

 

 

안녕하세요! 복습하는 물리치료사 올선입니다.

저번 포스팅에서는 원시반사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이번 포스팅은 그에 이어 반사운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반사운동은 '~수준의 반사'라는 표현을 많이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오늘 살펴볼 척수반사의 경우 강의를 들을 때 '신생아의 척수수준의 반사'라고 많이 언급하실 것입니다. 반사운동이 중추신경계(뇌와 척수)의 레벨에 따라 범주화되기 때문입니다. 반사운동의 종류로는 척수반사, 뇌줄기반사, 중간뇌반사, 자동운동반응, 대뇌겉질반응로 다섯종류가 있습니다.

저번 포스팅에서는 원시반사의 종류에 대해 설명하였는데요, 반사운동에 대해 알아보기 전 간략하게 원시반사의 개념에 대해서 설명하며 반사운동에 대해 비교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원시반사는 정상 영아가 별한 자극에 반응하는, 중추신경계에서 기인한 반사활동입니다. 이 반사들은 사라지거나 이마엽에서 기인된 정상 아동발달을 통해 억제되는데요, 또한 이 원시반사는 영아반사 혹은 신생아 반사(infant or newborn reflexes)라고도 합니다. 생후 6~7개월 미만의 영아에게 나타나는 원시반사(primitive reflex)는 어떤 자극에 대한 신생아의 반응을 의미하기에 신생아의 신경 및 근육의 성숙도를 판단하는 근거가 됩니다.

반사운동 또한 원시반사와 마찬가지로 신생아의 신경 및 근육의 성숙도를 판단하는 근거가 됩니다.

반사운동이 일어나는 기전은 아동이 자신을 보호하고 해로운 자극에서 자유로워지기 위해서이며, 정상적인 운동발들을 이루기 위한 계단의 역할로써, 정상적인 자세반사의 발달이 요구됩니다. 현문사의 '소아물리치료 진단과 중재'에서는 이러한 반사운동 검사의 목적이 중추신경계 반사 성숙도를 신경생리학적 측면에서 척수, 뇌줄기, 중간뇌, 자동운동반응, 대뇌겉질의 운동발달로 단계별로 측정하는데에 있다고 알려줍니다.

 

원시반사에 대한 개념설명에서 '억제'라는 단어를 사용한 것에 주목해주시기 바랍니다.

실제로 원시반사는 소아가 성장하며 사라지는 듯 보이나 실제로는 정상발달에 의해 '억제'된 것 입니다. 그렇기에 중추신경계에 손상을 입은 환자들의 경우 '억제'되었던 원시반사가 다시 나타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는 소아물리치료 뿐만 아니라 성인신경계물리치료에서도 중요한 상관관계를 갖습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반사운동 중 척수반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척수반사는 굽힘회피반사, 폄밀기반사, 교차성폄반사Ⅰ, 교차성폄반사Ⅱ 이렇게 네 종류가 있습니다.

 

 

<굽힘회피반사>

굽힘회피반사는 바로눕힌 자세에서 양다리를 편 후 머리를 가운데 오게 한 후 발바닥을 자극합니다.

음성 반응으로는 자극을 받는 다리를 편 상태로 유지하고 있거나 의지적으로 피하려 합니다.

양성 반응으로는 자극을 받는 다리를 반사적으로 구부립니다.

<폄밀기반사>

폄밀기반사는 바로눕힌 자세에서 머리를 반듯하게 하고 한쪽 다리를 펴고, 반대쪽 다리는 구부리게 하고, 구부린 발바닥을 자극합니다.

음성반응으로는 자극을 받는 다리를 구부린 그대로 유지하고 있습니다.

양성방응으로는 자극을 받는 다리를 반사적으로 쭉 펴는 모습을 보입니다.

 

 

<교차성폄반사Ⅰ>

바로 눕힌 자세에서 머리를 가운데 오게 한 후 한 쪽 다리는 펴고 다른 쪽 다리는 구부리게 합니다.

편 다리를 빠르게 구부립니다.

음성에서는 편 다리를 구부릴 때, 반대 쪽 구부러져 있는 다리가 그대로 있습니다.

양성에서는 편 다리를 구부릴 때 처음 구부러져 있었던 반대측 다리가 반사적으로 펴집니다.

<교차성폄반사Ⅱ>

바로눕힌 자세에서 머리를 가운데 오게 하고 양다리를 자연스럽게 벌리게 합니다.

검사하고자 하는 다리의 넙다리 부위 안쪽을 손가락으로 가볍게 두드립니다.

음성에서는 아무런 반응이 없습니다.

양성에서는 반대측 다리가 반사적으로 안쪽돌림되고, 발목이 발바닥 굽힘되면서 가위 형태로 모아집니다.

 

척수반사는 모두 생후 2개월까지는 양성반응이 정상입니다.

하지만 생후 2개월 이후에도 양성반응이 나타난다면 성숙지연을 의미합니다.

더 높은 수준의 반사운동이 나타나는 것이 정상적인 운동발달을 위해 중요하기에, 조기에 성숙지연을 발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렇게 척수반사로 이번 포스팅을 마치고, 다음 포스팅에는 뇌줄기반사에 대해 다루겠습니다. 

반사운동을 공부하실 때에는 자세및 자극, 음성반응, 양성반응, 평가 모두 암기해야합니다.

특히 척수반사는 어떤 특징을 갖는지, 뇌줄기반사는 어떤 특징을 갖는지 등등 운동발달 단계별로 카테고리화를 할 수 있어야 합니다.

척수반사의 경우 네가지 모두 바로누운 자세에서 검사를 진행하며, 반사의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척수에서 '자극 - 반사' 기전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다음 포스팅에서 배우는 뇌줄기반사는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을까요? 머릿속으로 정리하며 글을 따라 읽으시기를 권합니다ㅎㅎ!

척수반사를 공부하는데 참고자료가 되는 영상을 댓글을 통해 링크를 남겨놓겠습니다.

한번 확인해주세요!

 

 

자료출처)

<소아물리치료 진단과 중재>, 소아물리치료 편찬위원회, 현문사, 2018.8.3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