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12. 소아물리치료 - 성장과발달 - 기능적움직임의 발달 - 태아의 신경계발달

소아물리치료

by 올선 2021. 1. 14. 19:58

본문

728x90

 

 

안녕하세요? 복습하는 물리치료사 올선입니다.

눈이 펑펑 왔는데, 다들 눈사람 하나씩 만드셨나요? 저는  직접 만들지는 못하고 구경만 했는데, 우리 아파트 단지에 이렇게 금손들이 많았나~ 생각했답니다.

저번 포스팅의 태아의 주차별 발달에 이어 이번 포스팅에서는 태아의 신경계 발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늘 말씀드렸듯이 태아의 발달에서 태아의 주차별발달보다 중요한 부분이 태아의 신경계발달(신경해부생리와 이어지는 맥락이있기 때문에), 대동작운동발달, 소동작 운동발달 입니다. 그러니 눈 동그랗게 뜨시고 집중해서 읽어주세요! 

 

 

 

발생학적으로 보면 신경계통은 한개의 외배엽성관,즉 신경관에서 분화됩니다.

(위의 그림 참조)

발생 3주 초에 외배엽이 긴 축을 따라 두꺼워지면서 신경판을 형성하고, 양쪽 모서리가 점점 높아져 중간부분이 들어간 신경고랑(신경구)이 되고 신경판의 양쪽 모서리가 솟아올라 신경주름을 형성합니다. 신경주름은 정중앙에서 만나 관의 형태인 신경관이 됩니다.

신경관은 발생 4주말경 뇌의 세 영역인 앞뇌(전뇌), 중간뇌(중뇌), 마름뇌(능형뇌)를 형성합니다. 발생 6주차에 앞뇌는 대뇌반구로 발생하는 끝뇌(종뇌)와 사이뇌(간뇌)로 분화하고, 중간뇌는 그대로 커져서 중간뇌(중뇌)가 됩니다. 마름뇌는 이후에 다리뇌소뇌로 발생하는 뒤뇌(후뇌) 및 숨뇌(연수)로 분화합니다. 이와 같은 발생과정의 변화와 함께 신경관을 구성하는 세포로부터 신경세포와 신경아교세포로 분화하고 일정한 부위에 밀집되어 뻗어나갑니다.

괄호친 내용에는 구용어가, 그 앞에는 신용어가 사용되었는데, 국가고시에서는 신용어만 사용하므로, 실제적으로는 신용어만 알아도 됩니다. 하지만 실제 임상에서도 쉽게 의사소통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교수님들께서 구용어와 신용어, 영어로된 의학용어표현 모두 외우게 하시죠ㅠㅠ, 가장 먼저는 신용어부터 외우는걸로! 기억해주세요.

 

 

(1)뇌의 발생

1차 뇌소포를 거쳐 앞뇌, 중간뇌, 마름뇌와 목굽이 및 머리굽이로 구분됩니다.

2차 뇌소포에 의해 앞뇌끝뇌사이뇌로 분화되고, 끝뇌로부터 대뇌반구 바닥핵 등이 발생하며, 사이뇌에서는 시상, 시상하부 등이 발생합니다. 중간뇌에서는 중뇌가 발생하며 중간뇌수도관이 됩니다. 뒤뇌다리뇌, 소뇌, 숨뇌로 발달합니다.

 

 

(2) 신경관의 분화

신경관이 부분적으로 확장되어 뇌실이 되어 왼, 오른가쪽뇌실, 뇌실사이구멍, 셋째 뇌실, 넷째 뇌실로 구분되고 꼬리부분은 척수중심관으로 남습니다.

이들 일련의 뇌실계통 속에는 일정량의 뇌척수액을 통해 중추신경계통의 전체 표면으로 퍼져 거미막밑공간과 교통합니다. 현문사의 '소아물리치료 진단과 중재' 책에서는 이렇게 표현합니다. "즉, 중추신경계통 전체는 뇌척수액이라는 액체에 떠 있는 상태가 된다."

 

 

(3) 척수의 발생

신경관이 발달하면서 척수부위의 바닥판은 앞뿔이, 날개판은 뒤뿔이 됩니다.

척수신경은 신경관의 가쪽에 신경능선이라 하는 세포집단에서 분리됩니다. 신경능선에서 발생한 척수신경절에서 나온 신경섬유는 후각으로 이어지는데, 이는 척수신경의 뒤뿌리가 되고, 운동신경이 될 신경섬유는 척수의 복외측에서 나오며 자율신경 중 교감신경은 척수신경의 앞뿌리를 통해 나가다가 교감신경절로 이어집니다.

신경관의 분화와 유래물에 대한 내용은 표로 정리하였으니, 일차뇌소포에 해당하는게 뭐다, 이차뇌소포에 해당하는게 뭐다 정도만 암기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럼 퀴즈를 통해 지금까지 알아본 태아의 신경계 발달에 대해 복습해보겠습니다!

퀴즈의 답은 댓글에 남겨놓았으니 확인 부탁드려요!

* 발생 4주말경 신경관은 1차뇌소포로 뇌의 세 영역을 어떻게 형성하는가?

* 발생 6주차 2차뇌소포에서 앞뇌는 어떻게 분화하는가? 

* 발생 6주차 2차뇌소포에서 마름뇌는 어떻게 분화하는가?

* 태아의 발생학적 신경관 형성의 순서는?

 

 

참조자료)

<소아물리치료의 진단과 중재>, 소아물리치료 편찬위원회, 현문사, 2018.08.30, 92~99p

<사람해부학>, 현문사, 2012

728x90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