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17 소아임상, *차트용어point*

임상

by 올선 2021. 2. 20. 01:20

본문

728x90

안녕하세요! 복습하는 물리치료사 올선입니다.

오늘은 차트용어를 공부했어요.

함께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차트용어

ability: (능력) 가능한 기능, 능력

activity: (활동), 활동. 운동성

adaptation: (적응) 새로운 환경이나 조건에 맞추게 됨

alignment: (정렬) 좌우앞뒤 자세가 어떤지 표현. 신체정렬

antigravity movement: (항중력움직임) 중력에 대항하는 방향의 움직임. extensor를 쓸수도, flexor를 쓸 수도 있다.

arousal level: (각성수준) 정신의 또렷함의 정도. 각성(alert), 기면(drowsy), 혼미(stupor), 반혼수(semi-coma), 혼수(coma)

associated reaction: (연합반응). 비정상적인 반사. brain stem level의 반사. 긴장성반사.

associated movement: (연합운동) selective한 정상적인 반응이며 신체 일부 운동이 신체 다른 부위의 자세반응을 불수의적으로 유발

asymmetry: (비대칭) 좌우의 대칭이 맞지 않음

center of gravity: (무게중심) 신체의 무게중심. 신체 위치를 바꾸거나 자세변화를 주면 이동한다.

base of support: (지지기저면) 자세를 취할 때의 지지면. BOS를 넓히면 적은 노력으로 균형을 유지할 수 있으나 임상에서는 BOS를 좁혀가도록 지도해야한다.

body concept: (신체개념) 신체 각 부위에 대한 객관적 인식. 9개월부터 자신의 눈, 코 구별할 수 있음. 18개월이면 중요신체부위를 구별한다.

body image: (신체이미지) 자기 자신의 신체에 가지는 주관적 느낌. 자신감이 없으면 움직임 자체를 싫어하는 소극적 태도 보임.

body scheme: (신체도식) 신체 각 부위의 종합적인 내적 지각을 의미, 즉 객관적 주관적 지식을 종합.

body awareness: (신체인식) 신체 내부감각. 근육, 관절 등에서 오는 고유수용성 감각 처리에 영향을 많이 받음. 종합을 넘어 신체를 기능적으로 사용. 역할에 맞게 사용.

* body image -> body concept -> body scheme -> body awareness 순서

chin tuck: (턱당기기) capital flexor의 이용

collapse: (무너짐) 지지하지 못하거나 몸을 바른 자세로 취하지 못하고 무너짐

co-activation: (동시활성) 신경의 활동에 대해 설명하는 용어. motor control에 대한 개념이 들어간다.

co-contraction: (동시수축) 근육에 대해 설명하는 용어. ex)주동근과 길항근이 동시수축하면 강직이 발생한다.

*부정적인, 긍정적인 의미도 담지 않은 중립적 단어. 긍정적인 사용의 예로 kneeling을 하기 위해 abdominal m.과 glueus m.은

compensation: (보상) 의도한 움직임을 만들고 싶은데 안될 때 다른 방법을 사용해 목표에 도달하려한다.

connection: (연결) 신체 정렬의 연결 dorsiflexion -> knee flexion -> pelvic flexion -> pelvic ant. tilting

dissociation: (분리) connection을 통해 axis이용 분리된 움직임 가능. scapula의 분리된 움직임이 먼저 생기고 이후 pelvic의 분리된 움직임이 나온다. reaching가능한 5m, 6m(2기후반, 3기초반)에 발달

coordination: (협응) 근육, 신경기관, 운동기관 등의 움직임의 상호조정능력. 머리, 어깨, 입, 팔, 손가락 등을 시각적 탐사와 연결하여 움직이는 신체적 조절능력

core stabilit: (심부안정화) 인체의 중심을 잡아주는 근육들의 작용으로 척추를 잡아주어 척추가 이리저리 움직이는 것을 막음.

dynamic stability: (동적안정성) 동작에서의 주어진 환경 내의 기저면에서 신체 중심점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 평형정위반응, 보호반응에 의해 제공된다고 보바스가 정의함.

proximal stapility: (근위안정성) 몸의 가까운쪽 관절과 근육들의 안정. 근위안정이 되어야(예를 들어 어깨). 원위부(팔, 손)의 움직임이 안정적이며 목표에 도달하게 돕는다.

counter balance: (평형력) 평형력(역균형) 동일한 무게 또는 힘으로 반대 균형을 잡음. 균형을 맞춤. pelvic, scapula, crawling 균형이 깨지며.

elongation: (연장) 길이의 연장. 근육에 대해서도 많이 사용되는 용어이다.

eye-hand coordination: (눈손협응) 눈손협응은 손의 움직임과 함께 눈을 유도하기 위한 손의 고유수용을 사용해 도달 및 파악하기 위한 시각입력의 처리를 협조, 제어하는 것이다.

fluctuation: (변동) athetoid CP아동에게서 보이는 tone이 계속 바뀌는 현상. hyper <-> hypo로 왔다갔다한다.

frog leg position: (개구리자세) hip external rot. knee flexion된 자세이다.

frozen ankle: (동결발목) 발목관절에 stiffness가 있다. 뻣뻣함이 있다.

fulcrum: (지렛대 받침) 지렛대가 회전하거나 움직일 때 중심 역할을 하는 중심점. pivot point.

grading movement: (관절내 움직임 또는 단계적인 움직임) 관절내 움직임은 동작을 할 때 일어나는 관절 내에서의 관절면 사이의 움직임이다. 단계적인 움직임은 prone->sitting과 같은 자세변화시 수행하는 단계적인 움직임이다.

*sequence와 의미가 유사하게 느껴지나 약간 다르다. sequence는 순차적인 움직임.

inactive neck: (비활성 목) muslce tone이 낮아 목을 사용하지 않음.

inactive trunk: (비활성 몸통) muscle tone이 낮아 몸통을 사용하지 않음.

* inactive neck, inative trunk의 특징 muscle tone이 나오지 않아 activation이 나오지 않음.

sway가 많고 activation이 잘 안됨.

inhibition control: (억제 제어) 목표와 무관한 자극과 행동반응의 억제

intoeting gait: (내족지보행) 보행 시 발이 안쪽으로 돌아감. ankle inversion, hip internal rot. 등 여러 형태로 나타날 수 있음

midline orientation: (가운데개념) 가운데 축에 대한 개념. 이 개념이 발달되어야 좌우에 대한 개념을 익힐 수 있다.

mobile spasm: (이동 경직) 운동을 시도했을 때 경직성 신생아의 athetoid CP에서 발생하는 긴장성 spasm

physiological flexion: (생리적인 굽힘) 신생아(0~3m)의 생리적인 굽힘현상. 태아가 자궁 내에서 팔다리를 모으고 굽힌 상태로 성장하는 것이 원인이 되어 출생 후에도 ROM에 제한이 있으면 굽힘을 보인다.

postural set: (자세설정) 1기 시각발달 -> proximal 긴장을 통한 postural set. selective한 움직임 가능하게 함. ex 물컵을 잡기 위해 손을 뻗어 움직이는 건 distal 이지만 proximal이 안정되어야 한다.

reciprocal inhibition: (교대억제) agonist의 흥분에 의한 antagonist의 억제 ex biceps brachii을 주동근으로 사용해 수축하며 elbow flexion할 때 triceps brachii가 이완되어야한다.

reciprocal movement: (교대 움직임) 좌우 교대의 움직임. ex 양팔 교대의 움직임을 사용한 배밀이, 양발교대의 움직임을 사용한 보행.

reverse breathing: (역호흡) rib cage가 벌어져 있고 복압이 낮아 숨을 들이쉴 때 배가 안으로 들어가고 내쉴 때 다시 나오는 현상. 발달과정에서 rolling 충분히 하지 않을 때 spine의 mobility 충분하지X 흉통 넓게 쓰며 복압 형성하지X. 횡격막이 붙은 곳들 갈비뼈, 척추 등 그러나 뼈는 딱딱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연골이 횡격막이 당겨지는 힘에 영향을 받음. 칼돌기 부위가 움푹 들어가는 것. rib contact, spine mobility, 호흡교육 실시해야한다.

rotation component: (회전요소) 회전. 움직임에서 회전요소를 더하느냐 더하지 않느냐로 사용되는 근육이 달라진다.

rotatory movement: (회전움직임) 회전하는 운동. 축을 중심으로 rotate하는 움직임.

secondary quadriplegia: (이차적사지마비) diplegia는 팔다리 중 하지 침범이 더 심함. quadriplegia는 팔다리 중 상지의 침범이 더 심함. 그런데 diplegia에서 하지의 톤이 점점 올라와 하지보다 상지의 톤이 더 높아짐. 이차적, secondary quadriplegia 발생한 것.

selective movement: (선택적움직임) 적절한 근육활동에 의한 안정성을 기반으로 분절 혹은 하나의 관절의 선택되고, 독립적인 움직임을 의미.

self inhibition: (자가억제) 조산 등 감각적으로 예민한 경우. 터치와 같은 감각의 예민함을 스스로 억제. 조절.

sequence: (순서, 순차적움직임) 자세한 내용은 grading movement 참고. ex) standing을 취하기 위해 거치는 position, movment들

muscle tone: (근긴장도) tension과 근육의 길이와의 관계. stiffness의 정도. 근육의 stretch 혹은 passive elongation에 대한 저항.

spasticity: (경직) 상위운동신경원 증후군에서 나타나는 근긴장도의 이상. 수동적 신장에 의해 저항이 속도에 의존적으로 증가한다.

rigidity: (강직) 기저핵이나 소뇌의 이상으로 나타는 근긴장도 이상. 저항은 속도에 관계없이 이완되지 않고 모든 근육이 계속해서 수축하고 있는 상태. movement 자체가 나오기 힘들다. 굽혀지지도 펴지지도 않는다.

stiffness: (뻣뻣함) 병적 상태 근긴장도 증가. 근육의 길이가 짧아진 경우, 관절움직임에 통증 동반

*spasticity, rigidity, stiffness -> 근육

contracture: (구축) ROM 제한이 관절낭 이외에 인대, 근육, 피하조직, 피부들과 같은 연부조직에 기인. 수술해야함.

deformity: (변형), 비정상적인 body posture, limb position, 변형을 의미.

* contracure, deformity-> 관절

toe curling: (발가락 구부림) 발가락을 구부림. trunk tone이 떨어질 때. 불안정 할 때. tip toe gait(까치발)과 다름.

trunk sway: (몸통흔들림) 허리를 앞으로 내민 자세. gait하거나 할 때 양 옆으로 흔들림. W/B시 elongation 되지X, bending, 트렁크, 축.

visual tracking: (시각추적) 움직이는 물체를 따라가는 시각능력

weight bearing: (체중지지) COG 이동을 동반하지 않은 체중지지 (ex 오른쪽 다리로 짝다리 짚기)

weight shift: (체중이동) COG 이동을 동반한 체중지지. (ex. 좌우 다리 번갈아가며 체중지지하기)

weight transfer: (이동하는 동작 내에서 체중이동) 이동하는 BOS 안에서 COG도 같이 이동하는 상태(ex. 보행)

head tilt: (머리기울임) 자세에서의 머리의 기울임

righting reaction: (정위반응) 중력과 연관하여 공간에서 머리를 수직으로 정렬시키는 반응.

plagiocephaly: (사두증) 머리뼈가 비대칭적으로 변형(한쪽 면의 평평함) 된 질환이다.

brachiocephaly: (단두증) 머리의 뒷부분이 납작하게 들어간 머리모양. 앞뒤머리둘레에 비해 측면 머리 둘레가 비례 90%이상인 경우

central pattern generator(CPG): (중앙패턴생성기) step page gait. CPG 걷기패턴을 익혀 자동적 걷기 나오게 해줌. 보행 및 respitation, mastication 등의 주기적이고 율동적인 동작들이 반복을 통해 단순한 형태를 이룸. 운동패턴을 만드는데 관여하는 신경원의 집단. (spinal level)

 

 

 

 

 

 

728x90

'임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 소아임상, *뇌성마비point 2*  (0) 2021.02.24
#18 소아임상, *시-지각*  (0) 2021.02.22
#16 소아임상, *뇌성마비 point*  (0) 2021.02.19
#15 소아임상, *발달평가도구*  (0) 2021.02.18
#14 소아임상, *감각통합point*  (0) 2021.02.16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