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물리치료

15. 소아물리치료 - 성장과 발달 - 기능적움직임의 발달 - 발달평가1, 보이타자세반응검사

올선 2021. 1. 17. 21:52
728x90

 

 

 

안녕하세요! 복습하는 물리치료사 올선입니다.

다들 저녁식사 맛있게 하셨나요? 저는 이제 막 식사를 마치고 부지런히 포스팅을 하려고 들어왔습니다.

오늘은 그동안의 배운 소아의 운동발달을 평가하는 평가 도구들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지금 주로 참조하는 자료는 현문사의 <소아물리치료 진단과 중재> 2018 교재인데요, 제가 신경계 진단평가 과목을 배우면서 사용했던 교재 범문에듀케이션의 <신경계 물리치료 진단평가학>에 있는 내용도 좋아서 이 두 책의 내용을 섞어서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발달평가1에서는 신체기능과 구조에 대한 발달평가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신체기능과 구조에 대한  발달평가 방법은 '반사'를 사용하는 방법과, '보이타자세반응검사'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1)반사

(그동안의 게시글들을 아래링크를 통해 참고) 

원시반사 https://pt-olsun.tistory.com/5

4. 소아물리치료 - 성장과 발달 - '신경-성숙이론', '동적체계이론', 원시반사

안녕하세요! 복습하는 물리치료사 올선입니다. 오늘은 소아의 발달과 성장 파트의 원시반사와 반사운동 중 원시반사에 대해서 포스팅하겠습니다. 본격적인 원시반사에 대해 설명드리기 앞서,

pt-olsun.tistory.com

척수반사 https://pt-olsun.tistory.com/6

5. 소아물리치료 - 성장과발달 - 반사운동 - 척수반사

안녕하세요! 복습하는 물리치료사 올선입니다. 저번 포스팅에서는 원시반사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이번 포스팅은 그에 이어 반사운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반사운동은 '~수준의 반사'라

pt-olsun.tistory.com

긴장성/뇌줄기반사 https://pt-olsun.tistory.com/8

6. 소아물리치료 - 성장과발달 - 반사운동 - 긴장성/뇌줄기반사

안녕하세요, 복습하는 물리치료사 올선입니다. 오늘도 이렇게 블로그를 통해 뵙게 되어 정말 반갑습니다! 직접 손으로 자료사진을 그리다 보니 시간이 벌써 새벽 3시 45분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pt-olsun.tistory.com

중간뇌반사 https://pt-olsun.tistory.com/9

7. 소아물리치료 - 성장과발달 - 반사운동 - 중간뇌반사

안녕하세요? 복습하는 물리치료사 올선입니다. 오늘은 소아물리치료의 성장과 발달 파트에서 반사운동 중 중간뇌반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오늘은 지금까지 알아본 원시반사, 반사운동

pt-olsun.tistory.com

자동운동반응 https://pt-olsun.tistory.com/10

8. 소아물리치료 - 성장과발달 - 반사운동 - 자동운동반응

안녕하세요? 복습하는 물리치료사 올선입니다. 오늘은 저번 포스팅에 이어 중간뇌반사 다음의 반사운동인 자동운동반응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동운동반응은 반사운동카테고리 중 가장 적

pt-olsun.tistory.com

대뇌겉질반사 https://pt-olsun.tistory.com/11

9. 소아물리치료 - 성장과발달 - 반사운동 - 대뇌겉질반응, 아동의 비정상운동반사

안녕하세요! 복습하는 물리치료사 올선입니다! 다들 겨울 잘 보내고 계시나요? 요즘에는 재난문자로 한파주의보가 계속 내려와서, 찬 공기에 노출되면 동상에 걸린다는 말에 지레 겁먹은 마음

pt-olsun.tistory.com

 

(2) 보이타의 자세반응 검사

 

 

 

A. 견인반응

 

 

가. 자세 및 자극

- 바로 누운 자세에서 머리는 정준선을 맞춥니다.

-치료사가 양 손을 잡아 45도가 될 때까지 위로 끌어올립니다.

 

 

 

나. 반응

제1기(0~6주) : 머리는 뒤로 늘어지고, 다리는 약간 굽힘됩니다.

제2기(7주~6개월): 머리가 숙여지고 전체 굽힘 동작 생깁니다. 다리는 몸통 쪽으로 잡아당깁니다.

제3기(7~8개월): 몸통의 굽힘 동작 감소하고 스스로 몸을 위로 끌어올립니다. 다리의 굽힘동작이 점차 감소됩니다.

제4기(9~12개월): 머리가 몸통과 직선을 이루며 몸을 끌어올립니다. 다리는 벌림하여 무릎을 폄 합니다.

 

B. 란다우반응

 

 

가. 자세 및 자극

- 치료사의 손바닥 위에 배를 올려놓은 엎드려 누운 자세를 취합니다.

- 수평자세에서 유지합니다.

 

 

 

나. 반응

제1기(0~6주): 머리는 약간 숙여지고, 몸통은 가볍게 굽힘되며, 사지는 굽힘자세가 됩니다.

제2기(7주~6개월): 목은 어깨선까지 폄되고, 몸통과 사지 약간 굽힘자세가 됩니다.

제3기(7~8개월): 목을 대칭적으로 폄하고, 다리는 약간 벌림된 상태가 됩니다.

제4기(9~12개월): 목을 스스로 숙이고, 몸통을 수평으로 유지합니다.

 

C. 겨드랑이걸치기

 

 

가. 자세 및 자극

- 엎드려 누운 자세를 취합니다.

- 치료사는 겨드랑이 약간 아래쪽 몸통을 잡고 들어올립니다.

 

 

 

나. 반응

제1기(Ⅰa)(0~3개월): 다리를 힘없이 굽힌 상태가 됩니다.

제1기(Ⅰb)(4~7개월): 두 다리를 몸통 쪽으로 끌어당깁니다.

제3기(8~12개월): 두 다리는 느슨한 폄 상태이고, 두 발은 발목관절 발등굽힘됩니다.

 

D. 보이타반응

 

 

 

가. 자세 및 자극

- 엎드려 누운 자세를 취합니다.

- 치료사가 아이의 등이 검사자 쪽으로 향하게 하여 다리를 수직 위로 올려 세운 후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수평이 되도록 기울입니다.

 

 

나. 반응

제1기(0~10주): 양팔은 모로반사와 같은 모양으로 폄됩니다. 위쪽 다리의 발목관절은 발등굽힘, 엎침되고 발가락 폄되며, 아래쪽은 발등굽힘, 뒤침됩니다.

제1과도기(11~20주): 양팔은 모로반사와 같은 동작이 줄어듭니다. 다리는 굽힘상태에서 위쪽 다리는 발가락 폄되지 않습니다.

제2기(4~7개월): 양팔은 굽힘된 자세를 취하고 느슨하게 주먹을 쥡니다. 다리는 느슨하게 굽힘된 자세이고, 발목관절은 발등굽힘과 뒤침됩니다.

제2과도기(7~9개월): 양팔은 느슨하게 굽힘된 자세룰 취합니다. 다리는 앞으로 뻗은 자세이고, 발목관절은 발등굽힘됩니다.

제3기(9,10~13,14개월): 위쪽 팔 옆으로 뻗습니다. 위쪽 다리는 옆으로 뻗으며, 양 발목관절은 발등굽힘됩니다..

 

E. 콜리스수평반응

 

 

가. 자세 및 자극

- 옆으로 누운 자세를 취합니다.

- 위에 놓은 위팔과 넙다리부위를 잡고 그대로 들어 올립니다.

 

 

나. 반응

제1기(0~3개월): 6주까지 팔은 모로반사와 같은 동작을 취하고 이후 느슨한 굽힘 자세를 취합니다.

아래쪽 다리는 굽힘됩니다.

제2기(4~6개월): 아래쪽 위팔 안쪽돌림되고 말에는 손바닥으로 짚습니다.

제3기(8,9~12개월): 손을  펴고 짚습니다. 엉덩관절은 벌림되어 바깥쪽 면으로 버티다가 점차 발바닥 전체로 버팁니다.

 

F. 파이퍼역수직반응

 

 

가. 자세 및 자극

- 4~5개월에는 바로 누운 자세를 취하며, 그 이후에는 엎드려 누운 자세에서 시작합니다.

- 아기의 무릎을 잡고 갑자기 수직으로 머리를 밑으로 향하게 합니다.

 

 

 

나. 반응

제1기(0~3개월): 목은 폄, 엉덩관절은 굽힘됩니다. 6주까지의 팔은 모로반사와 같은 반응이고, 그 이후 팔을 옆으로 뻗습니다.

제2기(4~5, 6개월): 목과 몸통 대칭이고, 팔은 옆으로 벌려 위로 올리고 손은 폄됩니다.

제3기(7~12개월): 목과 몸통 폄되고 팔은 위로 뻗습니다.

제4기(9,10~12, 14개월): 치료사를 잡고 위로 올라가려고 합니다.

 

G. 콜리스역수직반응

 

 

가. 자세 및 자극

- 바로누운자세를 취합니다.

- 치료사가 한쪽 무릎이나 접다리를 잡고 갑자기 머리를 밑으로 향하게 하여 수직으로 들어 올립니다.

 

 

나. 반응

제1기(0~6개월): 잡지 않은 다리는 굽힘자세를 취함

제2기(7~12개월): 잡지 않은 다리의 무릎관절은 폄되고, 엉덩관절은 굽힘됩니다.

 

원래는 발달평가를 하나의 게시글로 마치려고했는데,

보이타 검사 부분을 보고, 그동안 늘 그림으로만 정리된 보이타를 봤어서, 보이타자세반응검사의 연령별 반응도 정리하면 공부하는 분들께 도움이 많이 되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일단 '신체기능과 구조 검사'로 '반사'와 '보이타자세반응검사'를 따로 떼어내 정리해봤습니다..! 사실 학교에서 공부를 할 때는 검사 자세와 이름만 연결지어 생각할 수 있어도 충분하지만, 더 심화해서 공부할 수 있다면 좋겠죠~ 

오늘 포스팅도 퀴즈로 마무리할게요! 아래의 사진에서 각각의 자세반응 이름을 연결지어서 맞추시면 됩니다.

답은 댓글에 남겨놓았으니 확인해주세요!

다음 포스팅에서는 DDST Ⅱ, Wee FIM, BO TEST, GMFM, PEDI-CAT, PDMS-2, Motor development test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소아물리치료 진단과 중재> 소아물리치료 편찬위원회, 현문사, 2018.08.30, 78~90p

<신경계물리치료 진단평가학> 신경계물리치료 진단평가학 편찬위원회, 범문에듀케이션, 2019.03.04, 330~354p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