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복습하는 물리치료사 올선입니다.
오늘도 이렇게 함께 공부하기 위해 모여주신 분들께 감사를 표해요.
저번에도 말씀드렸다싶이, 뇌성마비의 분류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부족하지 않아요.
뇌성마비가 워낙 다양한 증상을 나타내는 질환이다 보니, 뇌성마비를 분류하는 방법도 다양하게 존재한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 알아 볼 분류들은 해부학적 신체부위에 따라 분류하는 방법, 운동장애의 형태에 따라 분류하는 방법, 기능적 수준에 따라 분류하는 방법, 미국뇌성마비학회의 분류, 보바스의 분류입니다. 그 중 가장 외워두어야 하는 대표적인 분류방법으로 해부학적 신체부위, 운동장애의 형태에 따라 분류하는 방법에 대해 꼭 알아두셨으면 좋겠어요~
미국뇌성마비학회의 분류의 마비부위에 따른 분류로서, 신체부위에 따라 분류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양하지마비, 반신마비, 팔다리 마비로 분류하며, 경우에 따라 단마비, 삼지마비, 다리마비 등을 추가해서 사용하기도 합니다.
운동장애의 형태에 따른 분류는 강직형(spastic), 운동이상형, 실조형으로 구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과거에는 저긴장형의 분류도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저긴장이 소뇌성 병변에 의하여 나타남을 고려하여 통합해 실조형이라고 칭합니다.
강직형은 주로 대뇌 겉질이 손상을 받은 경우 해당합니다.
운동이상형은 바닥핵이 주로 손상받아서 발생하는 경우이며, 무정위형, 근긴장이상형으로 세분화하여 분류합니다.
실조형은 소뇌 손상으로 발생됩니다. (보바스의 분류와 유사)
세번째는
국내에서도 대한소아재활발달의학회를 중심으로 SCPE(Surveillance of Cerebral Palsy in Europe, 유럽 뇌성마비 분류 기준)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SCPE 기준에 의한 분류방법은 크게 강직형, 운동이상형, 실조형으로 구분하고 강직형은 한쪽형과 양쪽형으로 세분화하여 구분하고 있으며, 운동이상형은 근긴장 이상형과 무도-무정위운동형으로 구분하여 정의하고 있습니다.
강직형은 자세, 움직임이 비정상이고 근긴장도가 증가된 경우입니다.
강직형의 세부분류 중 강직형 양쪽 뇌성마비와 강직형 한쪽 뇌성마비는 이름의 뜻대로, 양쪽, 한쪽을 침범된 경우입니다.
운동이상형은 자세, 움직임의 비정상 패턴을 갖습니다. 또한 불수의적이며 조절되지 않는 반복되는 움직임이 특징입니다.
운동이상형의 세부분류로는 근긴장이상형, 무도-무정위 운동형이 있는데,
근긴장이상형은 활동이 감소되고 톤(긴장)이 항상 증가합니다. 무도-무정위 운동형은 그와 반대로 활동이 증가하고 톤이 항상 감소합니다.
실조형뇌성마비는 자세, 움직임의 비정상 패턴을 가지고 있으며, 순서적인 근육의 협응이 불가능한 것이 특징입니다.
네번째는
기능적인 분류방법은 대운동분류시스템(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GMFCS), 손기능분류시스템(Manual Ability Classification System, MACS), 의사소통분류시스템(Communication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CFCS), 먹기와 마시기 기능 분류시스템(Eating, and Drinking Ability Classification system, EDACS)이 있습니다.
다 살펴보지는 않고, 그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대운동분류시스템 GMFCS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운동분류시스템은 ICF 개념과 잘 맞는 분류시스템이며, 뇌성마비 아동이 자발적으로 시작하는 동작을 평가하는 시스템입니다. GMFCS의 단계별 기능수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1단계: 제한없이 걷는다.
대부분의 환경에서 걸을 수 있고 난간을 잡지 않고 계단을 오르내릴 수 있다.
완벽하지는 않지만 체육활동과 스포츠에 참여할 수 있다.
2단계: 걷지만 제한적이다.
환경적인 요인이나 개인적인 선호에 따라 이동 장비를 선택할 수 있다. 체육활동과 스포츠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개조장비가 필요할 수 있다.
3단계: 손으로 잡는 보행보조기구를 사용하여 걷는다.
환경적, 개인적 요인에 따라 이동방법이 다양하다. 수동휠체어나 전동 이동장비를 이용하여 체육활동과 스포츠에 참여할 수 있다.
4단계: 자가 이동이 가능하나 제한적임, 전동 이동장비를 사용할 수 있다.
대부분 바퀴달린 의자를 사용한다. 서서 하는 이동 동작을 돕기 위해 다리로 체중을 지지하기도 한다.
5단계: 수동휠체어로 다른 사람이 옮겨줘야 한다.
중력에 대해 목과 몸통을 가누지 못하고 팔다리 동작을 잘 조절하지 못한다.
보조기술장비로도 충분히 보완되지 않는다.
이렇게 주요 네가지 분류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뇌성마비의 분류방법은 그 외에도 많습니다.
미국 뇌성마비학화의 분류, 보바스의 분류가 있지요.
보바스의 뇌성마비 분류방법은 보바스 소아물리치료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을 위해 도움이 될까 싶어 더 찾아보았어요!
미국 뇌성마비학회의 분류는 마비부위, 장애정도, 신경학적 유형에 따라 분류합니다.
그 중 장애정도에 의한 분류는 그 장애 정도에 따라 경도, 중등도, 중증으로 분류하며,
가장 중요하게 평가하는 기능은 '언어장애'의 여부와 보행과 일상생활활동의 '독립정도'입니다.
보바스의 분류는 뇌성마비를 근긴장도 유형에 따라 강직형, 느린비틀림운동형, 실조형(이완형, 과운동형)으로 분류하며 그 장애 증상에 따라 세분화합니다.
오늘 이렇게 뇌성마비의 다양한 분류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중요한 내용이니 잘 숙지하시길 당부드리며, 오늘의 게시글도 퀴즈로 마무리하겠습니다.
정답은 댓글을 확인해주세요!
* 해부학적인 신체부위에 따른 뇌성마비 분류는?
* 운동장애의 형태에 따른 뇌성마비 분류는?
* 유럽의 뇌성마비분류기준(SCPE)는?
* 대운동분류시스템(GMFCS)는?
출처)
소아물리치료편찬위원회(현문사,2018), <소아물리치료 진단과 중재> 125~129p
신경계질환물리치료중재학편찬위원회(현문사,2018), <신경계질환물리치료 중재학> 122~123p
21. 소아물리치료 - 소아관련질환 - 뇌성마비 임상적진단 (1) | 2021.01.25 |
---|---|
20. 소아물리치료 - 소아관련질환 - 뇌성마비 임상증상 (2) | 2021.01.23 |
18. 소아물리치료 - 소아관련질환 - 뇌성마비 원인 (1) | 2021.01.22 |
17. 소아물리치료 - 소아관련질환 - 뇌성마비 개요(정의, 임상양상) (1) | 2021.01.21 |
16. 소아물리치료 - 성장과발달 - 기능적움직임의 발달 - 발달평가2 (2) | 2021.01.19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