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복습하는 물리치료사 올선입니다.
오늘은 오랜만에 블로그로 돌아와 인사드리게 되었네요..!
수업만 많이 듣는 학생이, 자기주도학습시간을 만들지 못하듯
한동안 교육을 듣느라 바빠서 개인적으로 공부할 시간이 나지 못했었다는 작은 변명을 해봅니다ㅎㅎ
오늘 주제는 저번에 다루었던 주제인 자폐스펙트럼 장애를 이어가서
그럼, 자폐스펙트럼 장애의 진단기준이 그러하다면, '자폐스펙트럼 장애의 치료, 즉 중재는 어떻게 되는가?'
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중재는 의학적 중재, 물리치료적 중재로 나뉘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의 물리치료적 중재는 작업치료에서 많이 다루어지고 있는 요소인 감각통합치료에 대해서도 이야기를 나누어 볼까 합니다.
먼저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의학적 중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의학적 중재의 대표적으로 약물치료, 머리뼈경유 전기자극치료(TMS)가 있는데요,
자폐스펙트럼 장애의 약물치료의 경우
처방된 약물이 자폐스펙트럼장애를 근본적으로 치료하는 약물은 아니며,
자폐스펙트럼 아동들이 겪게되는 정서적 어려움을 안정하고자하는 목적이 큽니다.
예를들어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이 공격적이거나 충동적인 행동, 상동적인 행동을 할 경우 리스페리돈, 할로페리돌 등의 신경이완제를 사용합니다.
강박적이고 집착하는 행위, 자해행동 등이 불면증을 동반할 경우 클로미프라민이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주의산만과 과잉행동이 다른 자폐스펙트럼아동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훨씬 두드러지는 경우, 과잉행동주의력결핍장애(ADHD)를 동반하는 것으로, 메틸페니데이트를 사용합니다.
또한 행동문제를 완화시키기 위해 비타민류가 사용되기도 합니다.
약물치료와 같은 생리적 접근은 보완적인 접근 방법 중 하나로, 다른 치료와 병행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 반드시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실행하고, 진전사항 및 부작용 여부를 지속적으로 검토해야 합니다.*
머리뼈경유 자기자극(TMS)는 두피 표면에서 유도시킨 국소자기장파동을 이용하여 대뇌겉질을 자극할 수 있도록 하는 비침습적 시술방법입니다.
최근 정신과 질환에 대한 치료적 적용이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는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에서도 치료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물리치료적 중재는 운동치료와 감각통합치료가 있습니다.
감각통합치료의 경우 작업치료 선생님들께서 많이 돌보아주시지요.
운동치료의 경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여타 다른 증후군이나 장애아동의 경우에 비하여 보았을 때
대근육 운동기술이 크게 떨어지는 편은 아닙니다.
다만 평소에 자주 사용하지 않는 운동자세나 움직임을 모방하거나 유지하는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그리고 움직임의 기민성이 떨어지기도 하는데,
공을 던지고 받는 동작과 같은 운동치료를 통해 상호 놀이기술 또는 모방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으며,
아동이 자신의 움직임에 자신감을 가지고 자유롭고 기민성을 가지게 되어 학교생활이나 사회생활에서도 보다 편안함을 느낄 수 있게 됩니다.
그렇다면 물리적 중재 중 감각통합치료는 무엇을 뜻할까요?
감각통합이론은 Ayres(1964)가 주장하였으며 자폐증과 같은 행동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적용하기 시작해, 계속 그 이론을 확장시켰습니다.
현재에는 발달장애 등 중추신경계 장애 아동의 지각, 운동, 행동, 정서, 인지능력의 향사에 크게 도움이 되는 치료로 인정받고 있다고 합니다.
감각통합의 기능으로서 크게 세가지로 식별/판별, 조절, 자세기전/운동계획이 있습니다.
감각통합치료를 통해 아동은 환경으로부터 제공된 감각정보를 억제하거나 조절할 수 있게되는데,
이를 통해 대, 소근육 운동이 보다 더 발달됨에 따라 일상생활동작과 사회성, 인지, 언어, 학습수행능력이 향상됩니다.
Ayres는 감각처리과정이 조직화되지 않은 아동의 상태를 이렇게 비유하였습니다.
"교통정리에 비유할 때 감각의 흐름이 조직화되지 않으면 신호 등의 고장으로 인해 러시아워에 교통체증을 빚는 현상과 같다"(Ayres, 1979)
이처럼 조직화되지 않은 감각처리과정을 도와 감각통합을 이루도록 중재할 때,
적응행동과 학습이 가능해지며, 이후 다시 피드백되어 보다 적극적인, 변화된 감각유입을 하게 되며 계속적인 순환과정을 이루게 됩니다.
그에 대해서는 아래의 잘 정리된 도식으로 보여드리며 포스팅을 마무리하도록하겠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자폐스펙트럼 아동의 중재로 의학적 중재와 감각통합치료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팅에는 이를 이어 감각통합치료 중재에 대해서 보다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퀴즈를 통해 포스팅을 정리해볼 수 있도록 퀴즈를 적어놓을테니,
댓글을 통해 그 답을 찾아보시길 바랍니다.
오늘도 함께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운동치료 목표는?
* 상호 놀이기술 또는 모방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는 운동은?
출처)
소아물리치료 편찬위원회,<소아물리치료 진단과 중재>, 현문사(2018), 208~211p
43. 소아물리치료 - 소아관련질환 - 감각조절장애중재 (2) | 2021.05.19 |
---|---|
41. 소아물리치료 - 소아관련질환 - 발달장애2 - 자폐스펙트럼장애 진단 (1) | 2021.04.10 |
40. 소아물리치료 - 소아관련질환 - 발달장애2 - 자폐스펙트럼장애 원인과 증상 (1) | 2021.03.28 |
39. 소아물리치료 - 소아관련질환 - 발달장애1 - 엔젤만증후군 진단과 중재 (1) | 2021.03.28 |
38. 소아물리치료 - 소아관련질환 - 발달장애1 - 엔젤만증후군 원인과 증상 (1) | 2021.03.28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