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43. 소아물리치료 - 소아관련질환 - 감각조절장애중재

소아물리치료

by 올선 2021. 5. 19. 18:19

본문

728x90

안녕하세요? 복습하는 물리치료사 올선입니다.
저번 포스팅에서는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중재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오늘은 그 중에서도 감각통합치료에 대해서 알아보도록하겠습니다.
감각통합치료는 내용이 많아 어떻게 포스팅을 구성해야 할까 고민이 많았어요.
오늘은 감각조절장애, 실행장애, 자세장애, 식별 장애 중
감각조절장애의 종류와 치료방법에 대해 같이 알아보아요!

감각통합치료에서는 많은 분들이 들어보셨을것이라고 생각이 들어요.
그럼, 아이들이 수업받는 감각통합치료의 종류에 대해서도 들어보셨을까요?
감각통합 치료에서는 감각조절장애, 실행장애, 자세장애, 식별장애에 대한 중재가 이루어집니다.
이런 치료시간에는 어떤 활동을 통해 치료를 할까요? 어떤 근거를 바탕으로 치료가 이루어지는 것일까요?
오늘은 본격적으로, 감각조절 장애와 중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감각조절장애에는 감각방어, 중력불안, 움직임에 대한 회피반응, 감각자극에 대한 낮은 반응이 있습니다.

감각방어의 경우 대부분의 사람들이 부정적으로 인식하지 않는 감각자극에 대한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입니다.
인체에는 다양한 감각자극들이 수용가능하지요.
청각, 시각, 후각, 촉각 등 많은 종류의 감각들이 대부분의 경우와 다르게 고통스럽게 받아들여져,
그에 대한 '도피'와 '싸움'을 하게됩니다.

감각조절장애에는 청각방어, 후각방어, 시각방어, 촉각방어, 구강방어, 안뜰 및 고유감각방어가 있습니다.
그중 청각방어는 청각에 예민한 감각조절장애로, 시끄러운 소음, 예를 들어 청소기, 자동차 소음, 헤어드라이어의
소음에 귀를 막으며 괴로워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청각에 계속해 과민해질 경우 의미있는 소리를 받아들이는 것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후각방어는 다른 사람들은 잘 느끼지 못하거나 신경쓰지 않는 냄새에 민감한 모습을 보입니다.
시각방어는 불빛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며, 밝은 배경에 있는 사물을 잘 쳐다보지 못합니다.
또한 시각방어가 있는 아동의 경우 다른 사람과 시선을 맞추지 못하거나 시선을 한 곳에 두지 못해
주의가 산만해지는 모습을 보이기도 합니다.

촉각방어는 옷입기, 머리빗기와 같은 가벼운 접촉에도 과도한 반응을 보입니다.
친구들과의 가벼운 접촉에도 거부감을 보이기 때문에 또래 친구들과의 놀이활동 참여에도 제약이 있지요.
사람이 많은 장소에 가는 것을 피하는 모습 또한 보입니다.
구강방어는 입 주변 촉각에 대한 반응이 예민한 것인데요, 촉각방어와 같은 선상에 있으나, 좀 더 감각수용기가 많은
입 주변의 촉각을 구분을 두어 구강방어라고 범주화합니다.
구강방어가 있는 아동의 경우 특정 질감의 음식을 거부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구강방어가 강해질 경우 칫솔질을 거부할 수 있으며, 세수 또한 거부할 수 있습니다.
안뜰및 고유감각방어는 흔들림이나 속도 변화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것입니다.
구역질이나 현기증 같이 부정적인 교감신경계 반응까지 보이는 경우 이를 감각방어와 분리하여
'중력불안'으로 설명하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중력불안'이란 정확히 무엇일까요?
중력불안은 안뜰계 이석기관의 처리과정 문제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머리 자세 변화에 따른 '근본적인 무서움'을 가지는 것이 구역질이나 현기증같은 부정적인 교감신경에도 영향을 주며,
이로인해 바닥에서 발이 떨어지는 것을 두려워하는 등, 기저면 장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중력불안 치료를 위해서 그네가 많이 사용되는데요,
발이 닿거나 가까이 놓인 활동을 만들어주기 위해서 입니다.
사용되는 사각 넓은 판 그네, 볼스터 그네, 넓은 판 미끄럼, 이중그네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도구들은 회전움직임이 최소화되는 동시에
선형 움직임이 촉진되게 함으로 정선된 감각입력을 통해 특정 감각에 대한 불안을 줄여주기 위한 것입니다.
또한 그네에서 내릴 때에는 발이 닿을 수 있도록 하여 안정감을 느낄 수 있게 해야하며,
상황이 여의치 않을 때에는 쿠션을 그네 아래에 놓아 그네에서 천천히 내릴 수 있도록 지도합니다.

움직임에 대한 회피반응은 안뜰계의 세반고리관의 정보처리 문제와 관련되어 있습니다.
안뜰감각의 선형움직임과 고유감각의 능동적 움직임 자극에 대한 회피반응으로,
현기증, 창백함, 구토, 식은땀을 보입니다.

움직임에 대한 회피 반응 치료를 위해서는 회전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두 지점이 매달리는 그네를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넓은 판 그네, 볼스터 그네가 있습니다.
점차 감각에 익숙해 갈 때 움직임을 조절하면서 한 지점에 매달리는 그네를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개구리 그네, 그물 그네가 있습니다.

감각자극에 대한 낮은 반응의 경우 감각과민의 경우와는 반대로 감각에 대한 느린 반응으로 인해
통증에 대한 자극에 대해서도 알아차리지 못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또한 감각자극에 대해 기대보다 낮은 반응을 보이며
무기력, 무감각한 모습을 보입니다.

과소반응을 가진 아동에게는 강화된 자극이 제공되는데,
빠르고, 짧게 실시하며 빈도수가 증가된 자극을 제공합니다.
이런 감각입력을 통해 강화된 감각의 질강도, 빈도, 지속시간, 리듬 등을 아이가 함께 느끼게하며
일상생활 수행에 충분한 변화를 가질 때까지 중재가 이루어집니다.

점차 소아재활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감각통합치료에 대한 접근이 쉽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감각통합치료는 주로 작업치료 선생님들께서 수업해주시기 때문에, 저도 잘 알지 못하는 분야였는데요,
어떻게 하면 좀 더 쉽게 감각통합 치료의 원리에 대해 알고, 치료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드릴지 고민이 됐습니다.
저도 감각통합 치료에 대해 처음 알아가는 초심자의 입장이 되어 공부하고, 전달하는 경험이 된 것 같습니다!
이 포스팅을 통해 감각통합 치료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충분히 알아가셨으면 좋겠습니다!
감각통합치료는 다음 포스팅를 마지막으로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함께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밑의 퀴즈는 댓글을 통해 정답을 확인해보세요!


* 감각조절장애의 종류는?
* 감각방어의 종류는?
* 중력불안의 원인과 증상은?
* 움직임에 대한 회피반응의 원인은?
* 감각자극에 대한 낮은반응의 치료 방법은?



출처)
소아물리치료편찬위원회, <소아물리치료 진단과 중재>, 현문사(2018), 212p~214p

728x90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