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27. 소아물리치료 - 소아관련질환 - 뇌성마비 보이타 치료방법

소아물리치료

by 올선 2021. 2. 12. 16:50

본문

728x90

 

 

 

안녕하세요? 복습하는 물리치료 올선입니다.

오늘은 날씨가 꽤 따뜻해서 낮에 잠시 환기를 위해 방문을 열어놓아도 추운 바람이 아닌 포근한 기온이 느껴지더군요.

이렇게 시간이 빠르게 지나서 금새 또 봄이 오지는 않을까, 날이 따뜻해지는 날만 기다리고 있답니다.

오늘은 오랜만에 소아물리치료 주제로 다시 돌아와서 보이타 치료방법에 대해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보이타 치료의 원리에 대해서는 저번 포스팅에서 함께 알아보았지요?

오늘은 보이타 치료방법, 보이타 치료의 효과, 보이타 자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보이타는 신체에서 운동유발을 위한 자극점을 찾아내고, 이 자극점에 압력을 주어 반사적 기기반응과 뒤집기반응을 자동적으로 유발하여 가증하게 하는 치료법입니다. 이런 감각운동반응을 반복하면 뇌에 정상운동 패턴을 일으키도록 고안된 신경운동학적 치료법이 보이타인 것이지요.

 

 

 

 

반사적 기기는 부분패턴입니다.

인간의 계통 발생학적 운동발달의 기본이 되어 인간의 정렬과 진행동작의 초석역할을 합니다.

반사적 뒤집기는 인간의 개체 발생학적 운동발달의 기본이 되어 정상발달에서 그 전체적인 복합체를 볼 수 있습니다.

뒤집기, 기기에 사용되는 근육은 걸을 때도 사용되는 것으로, 뒤집기 유형은 걸음 유형을 닮아습니다.

뒤집기가 정상적인 유형이 된다는 것은 걸음 유형이 정상 유형에 가깝게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반사적 기기는 똑바로 서는 것과 진행동작의 기초를 포함합니다.

 

 

 

 

보이타 치료에서 중요한 것은 일정한 치료의 출발자세를 보여야 한다는 것인데,

그 외의 치료기준들은 위의 그림과 같습니다.

 

 

현문사의 '소아물리치료 진단과 중재'에서는 유발점을 중추신경계로 들어가는 열쇠로 비유합니다.

선천적으로 타고난 프로그램을 자극 하는 것으로, 반응에 대한 저항에 의해 시간적 가중이 나아가 멀리까지 그 반응을 전파하여 하나의 이동형태에 협조해 가는 원리입니다.

동시에 좀 더 많은 유발점을 자극해, 즉 공간적 가중을 이용해 빠르고 완전한 근활동을 유발합니다. 

한 유발점에는 (머리쪽, 꼬리쪽), (안쪽, 가쪽), (배쪽, 등쪽)의 세 가지 방향으로 자극을 줍니다.

 

주요 유발점은 위와 같습니다.

 

 

보조 유발점은 위와 같습니다. 그런데 보이타 치료의 주요 유발점과 보조유발점은 구분하는 문제가 국가고시 시험으로 나오기 때문에 서술할 정도로 알 필요는 없지만, 구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보이타 치료의 효과는 척추와 머리의 조절을 증가할 수 있도록 돕는다는 것입니다.

또한 자세(유지)성 근섬유와 위상성 근섬유의 협동을 돕습니다.

자율신경계에 영향을 주어 호흡, 배뇨, 배변 기능을 향상시키고

전신의 각 골격근들을 협응적으로 활성화시킵니다.

 

 

보이타 치료 자세로는 반사적 기기, 에르스테 자세, 반사적뒤집기(1,2)가 있는데, 반사적 기기와 반사적 뒤집기 자세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 게시글에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보이타 치료에 대해 알아가는 시간이 되셨나요?

저는 이번 포스팅을 준비하면서 알게 된 가장 놀라운 점은 보이타 치료가 자율신경계에도 영향을 주고, 입 운동의 개선과 저작운동과 삼키는 운동의 협응을 돕는다는 것이었습니다. 뇌성마비 아동 중 삼킴장애로 인해 영양섭취에 어려움을 겪을 경우 생존기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보이타 치료로 대운동발달과 동시에 입 운동에 치료효과가 있다면 얼마나 임상적인 의의가 큰 치료법인가 생각이 들었습니다.

오늘도 포스팅은 퀴즈로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정답은 댓글을 통해 확인해주세요!

 

* 보이타의 주요유발점은?

* 보이타의 보조유발점은?

* 보이타 치료자세는?

 

오늘도 함께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자료출처>
소아물리치료편찬위원회(현문사,2018)<소아물리치료 진단과 중재>166p

728x90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