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25. 소아물리치료 - 소아관련질환 - 뇌성마비 보바스치료

소아물리치료

by 올선 2021. 1. 30. 02:25

본문

728x90

 

 

안녕하세요! 복습하는 물리치료사 올선입니다.

오늘은 뇌성마비 아동의 물리치료 중에서 보바스 치료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보바스치료는 뇌성마비 아동의 치료 중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소아물리치료입니다.

보바스의 초기정의는 "Bobath 치료는 촉진과 핸들링을 통한 비정상 반사활동 억제와 정상동작 재학습에 기본적인 개념을 둔다."였습니다. 그러나 현대적인 Bobath 개념은 "중추신경계 병변으로 인한 자세 긴장도와 동작 그리고 기능상의 장애가 있는 개개인을 평가하고 치료하는 문제해결 접근법이다. 치료목표는 촉진을 통한 자세조절선택적 동작의 향상을 통한 기능을 최적화하는 데 있다(IBITAH 12회 연차총회. 워싱턴 D.C.1995년, IBITA 2007)."으로 바뀌었습니다.

 

 

보바스 접근법은 환자의 임상양상에 따라 치료사의 핸들링을 통해 자세 긴장도를 조절하여 다양하고 효율적이며 경제적인 움직임과 자세를 경험하게 합니다. 또한 정상적인 운동-감각 경험을 갖게 하고 다양한 운동-감각 학습자가조절을 하게 합니다.

최근의 보바스의 접근법에서는 사람의 운동양상을 개인과 환경 사이의 연속적인 상호작용의 결과로 봅니다.

 

 

정상자세조절기전은 

정상 자세긴장도, 상호신경 교차지배, 여러가지 다양한 움직임의 패턴 세 가지를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한 가지라도 이상이 생기면 기능상의 변화를 일으키기 때문에 모두 반드시 갖추어야합니다.

정상 자세긴장도는

스스로의 움직임을 가질 때 자세긴장도의 범위는 항상 중력에 대항하여 움직일 수 있을 만큼 높아야 하며, 동시에 동작을 허용할 만큼 조화롭게 낮아야 합니다. 

정상 자세긴장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신경학적과 비신경학적 요소로 나눌 수 있습니다.

신경학적 요소는 각성 수준, 고유감각적 반사와 피부반사, 인지와 지각, 되먹임과 미리되먹임기전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비신경학적 요소는 근육 성상과 길이-장력 관계, 근육 섬유 형태가 있으며, 근육의 성상에는 탄력성, 점성, 가역성, 관성, 구축 등이 있습니다.

상호신경지배는

작용근과 대항근 사이에는 항상 적절한 근 긴장도의 차이를 유지하고 있어 적절한 움직임을 할 수 있게 합니다.

교차지배는 작용근과 대항근 사이에서 뿐만 아니라 신체의 상하좌우, 몸쪽, 몸 바깥쪽 부위 간의 일어나는 움직임으로도 설명합니다.

움직임에 있어 몸쪽 부위의 안정성이 있어야만 몸 바깥쪽의 가동성이 가능하게 되고, 자세 변화의 움직임에 대한 단계적인 조절을 하게 됩니다.

여러가지 다양한 움직임의 패턴

개인 간 움직임의 패턴 차이는 있지만 동작에는 최소한의 관절 움직임과 최소한의 가동범위로 움직임이 일어납니다.

어떤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움직임들이 협응하여 보다 쉽게 수행할 수 있는 경제적인 동작을 요구합니다.

정상 동작은 뇌의 통합을 바탕으로 합니다.

 

 

치료중재 순서

핸들링을 하는 치료중재 순서는 치료준비단계, 치료단계, 마무리단계에서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진행적인 요소입니다. 이 세 가지는 동시에 일어나며 서로 영향을 미칩니다.

준비단계: 근긴장도 높이는 요소 제거

치료단계: 아동의 유형에 따라 문제점과 특성에 맞추어 치료

마무리단계: 일상생활 동작과 연계된 기능적인 움직임으로 연결

 

 

핸들링

능동적인 자세조절과 움직임 패턴을 촉진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근위부의 조절점을 촉진할 것인지, 원위부의 조절점을 촉진할 것인지는 아동의 긴장 정도에 따라 치료사가 결정해야합니다.

근긴장도가 낮은 아동 - 원위부조절

근긴장도가 높은 아동 - 근위부조절

 

 

 

고유수용성 조절

운동치료에서 사용되는 외력은 기구와 치료사의 손으로 나눌 수 있는데, 치료에서 손에 의한 움직임의 조절은 고유수용성조절이라 합니다.

기구 사용은 반복 횟수가 무제한이지만 치료 질의 조절은 제한적이지요.

그에 반해 치료사 손의 반복 횟수는 제한적이지만 치료 질의 조절은 가능합니다.

치료 시 자극의 다양한 강도, 움직임의 범위, 방향 등을 지속적으로 변화를 주어 환자의 신경계가 치료사의 치료 동작에 계속 관심을 기울일 수 있게 하며 움직임과 관련된 골격근과 그에 따른 구조의 형태를 정상 동작을 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어주어야 합니다.

 

 

뇌성마비 아동의 보바스치료 원칙은 위의 내용과 같습니다.

 

 

보바스 분류에 따른 치료는 강직형 팔다리마비, 강직형 양하지마비, 강직형 반신마비, 무정위운동형, 실조형으로 나누어 생각해보아야합니다.

 

강직형 팔다리 마비 <소아물리치료 진단과 중재>(현문사2018)

 

강직형 팔다리 마비는 다음과 같은 증상이 있습니다.

- 각성상태 유지가 약하다

- 머리를 조절하지 못하고 비대칭이다

- 아동의 머리, 몸통의 상태에 따라 전신성 폄 패턴, 전신성 굽힘패턴의 두 가지 형태로 보인다.

- 근긴장도가 높아 움직임이 제한된다

- 과도한 동시수축으로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허리와 어깨가 휘어져있다.

- 다리의 과한 강직으로 구축과 변형이 있다.

이러한 증상들에는 위의 표의 내용과 같은 방법으로 치료를 합니다.

 

강직형 양하지마비 <소아물리치료 진단과 중재>(현문사,2018)

 

강직형 양하지 마비는 다음과 같은 증상을 보입니다.

- 조산으로 인해 머리 조절이 약하고 목 근육이 비대칭적이거나 약하다

- 역동적인 몸통 안정성이 약하다

- 어깨와 허리 골반 근 긴장도가 높아 움직임이 제한되어 있다.

- 양쪽 다리의 강직으로 인한 신전과 내전 구축이 있다.

- 양 발목에 강직으로 구축과 변형이 있다.

- 걸을 때 좌우로 흔들며 걷거나 까치발로 걷거나 골반을 뒤로 빼고 두 다리가 내전되어 걷는다.

- 혼자 제자리에 서서 오래 유지하거나 걸을 때 자주 넘어진다

이러한 증상들에는 위의 표의 내용과 같은 치료를 적용합니다.

 

강직형 반신마비<소아물리치료 진단과 중재>(현문사,2018)

 

강직형 반신마비는 다음과 같은 증상들을 보입니다.

- 신체의 한쪽만 침범하여 움직임이 비대칭이다.

- 반마비쪽은 사용하지 않는다.

- 반마비쪽의 강직

- 반마비쪽의 보행패턴

- 반마비쪽의 감각손상, 입체감각 인식, 시각장애 등이 있다.

- 침범된 쪽의 성장지연으로 팔이나 다리가 짧아진다.

이러한 증상들은 위의 표의 내용과 같이 치료합니다.

 

무정위운동형 <소아물리치료 진단과 중재>(현문사,2018)

 

무정위운동형은 다음과 같은 증상들을 가집니다.

- 전신적인 자세 패턴이 비대칭이다.

- 머리의 위치에 따라 무정위움직임이 나타나 똑바로 자세유지를 할 수 없다.

- 과민성이 있어 흥분하면 입을 크게 벌리거나, 손가락, 발가락 등에서 불수의운동이 생긴다.

- 바로잡기반응과 평형반응의 결여로 인해 불수의적, 간헐적인 긴장연축, 변화가 많은 부분적 수축 등의 많은 움직임이 보인다.

이러한 증상들에는 위의 표의 내용과 같은 치료를 합니다.

 

실조형 <소아물리치료 진단과 중재>(현문사2018)

 

실조형은 다음과 같은 증상들을 갖습니다.

- 초기에는 근 긴장도가 정상보다 낮아 근육긴장 저하증이 있다.

- 소뇌의 병변일 때는 균형조절, 협응조절, 지속적인 자세를 유지하는 능력이 떨어져 중력에 대항해서 균형을 유지하거나 동시수축이 어렵다.

- 실조성 보행으로 균형 부족이 있어 자주 넘어진다.

- 안구떨림, 활동떨림(의도성 전진), 겨냥이상증이 있음

- 등급 운동의 어려움

이러한 증상들에는 위의 표의 내용과 같은 치료를 합니다.

 

 

오늘은 이렇게 보바스치료의 개념과 개괄, 보바스분류에 따른 뇌성마비 아동의 치료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보바스치료의 핵심에 대해 다시 떠올리실 수 있으시겠나요?

오늘도 게시글을 퀴즈를 통해 마무리하겠습니다. 

정답은 댓글을 통해 확인해주세요!

다음 소아물리치료 게시글에서는 보이타치료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정상자세조절기전의 세가지 요소는?

* 보바스 치료의 중재 순서는 치료준비단계, 치료단계, 마무리 단계이다. 각 단계에서 치료사가 해야하는 것은?

* 고유수용성 조절은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운동치료와 달리 어떤 장점을 가지는가?

 

 

 

출처)

소아물리치료편찬위원회(현문사,2018)<소아물리치료 진단과 중재>157~165p

 

728x90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