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22. 소아물리치료 - 소아관련질환 - 뇌성마비 임상적진단

소아물리치료

by 올선 2021. 1. 27. 01:56

본문

728x90

안녕하세요? 복습하는 물리치료사 올선입니다!

오늘은 뇌성마비 아동의 보행평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보행은 인간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이동방법이기에 움직임에 문제를 갖는 소아에게 가장 중요한 활동의 지표가 됩니다.

특히 뇌성마비 아동의 보호자분들께서 가장 궁금해하시는 점이 바로

'우리 아이가 언제 걸을 수 있을까?' 인데요, 

그에 관한 유럽의 연구결과를 소개하고 보행평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Beckung 등은 유럽에 거주하는 3,872명의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만 5세 시점에 걸을 수 있는 아이들의 비율을 살펴보았습니다.

그 결과 54%는 보조도구 없이 걸을 수 있었고, 16%는 보조도구를 이용하여 걸었으며, 나머지 30%가 걸을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뇌성마비 형태별로 살펴보면, 강직형 한쪽마비는 90%가 보조도구 없이 걸었고, 단지 3%만이 걸을 수 없었다고 하네요.

강직형 양쪽마비는 36%가 보조도구 없이 걸었고, 43%가 걸을 수 없었습니다. 

운동이상형은 17%가 보조도구 없이 걸었고, 59%가 걸을 수 없었습니다.

실조형은 74%가 보조도구 없이 걸었고, 10%가 걸을 수 없었습니다.

보행과의 동반증상의 관련성을 볼 때 지적 손상과의 관련성이 가장 높아서, IQ 50 이하의 지적손상이 있는 아동의 경우 보행이 안 될 가능성이 높았다고 알려줍니다.

이처럼 뇌성마비의 분류별로 보행이 가능할 것인가의 연구결과가 다르게 나왔으니, 뇌성마비 분류에 대해서도 잘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뇌성마비의 분류에 대한 점은 이미 포스팅한 내용으로, 링크만 남기고 다음 내용으로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19. 소아물리치료 - 소아관련질환 - 뇌성마비 분류 (tistory.com)

 

19. 소아물리치료 - 소아관련질환 - 뇌성마비 분류

안녕하세요! 복습하는 물리치료사 올선입니다. 오늘도 이렇게 함께 공부하기 위해 모여주신 분들께 감사를 표해요. 저번에도 말씀드렸다싶이, 뇌성마비의 분류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부

pt-olsun.tistory.com

보행평가는 여러가지 평가도구들을 이용해 가능한데요,

그 중에는 생체역학적 동작분석, 관찰평가, 기능적 이동척도 등이 있습니다.

생체 역학적 동작 분석은

영상분석을 통하여 운동형상학적 지표를 측정하며 힘판과 근전도를 이용하여 운동역학적 지표를 측정합니다.

생체 역학적 동작 분석은 수술적인 치료를 실시하기 전에 반드시 실시하는 것이 좋은데요,

DeLuca 등은 91명의 경험이 풍부한 의사들에게 수술을 권고받은 뇌성마비 아동들을 대상으로 보행분석을 실시한 결과, 52%가 수슬을 실시하지 않아도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연구결과를 보였습니다.

따라서 수술과 같은 영구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중재를 하기 이전에는 꼭 보행분석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관찰평가는

별도의 고가의 장비 없이 치료사의 관찰만으로 걸음걸이를 점수화하는 방법인데요,

PRS(Physician rating scale), OGS(Ovservational gait scale)등이 대표적입니다.

PRS 검사 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출처: Koman(2001)

그 외에도 

기능적 이동척도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능적 이동척도는 GMFCS가 뇌성마비 아동의 이동능력을 분류할 수 있는 좋은 분류체계인데요,

하지만 일반적으로 환경과 거리에 따라 다른 이동방법을 택한다는 변수가 있어 평가도구로의 제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기능적 이동척도(FMS)는 이를 보완하는 평가도구로, GMFCS와 FMS를 함께 사용하면 더 정확한 보행능력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GMFCS는 이미 포스팅한 내용이므로, 간단히 링크만 남기고 FMS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9. 소아물리치료 - 소아관련질환 - 뇌성마비 분류 (tistory.com)

 

19. 소아물리치료 - 소아관련질환 - 뇌성마비 분류

안녕하세요! 복습하는 물리치료사 올선입니다. 오늘도 이렇게 함께 공부하기 위해 모여주신 분들께 감사를 표해요. 저번에도 말씀드렸다싶이, 뇌성마비의 분류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부

pt-olsun.tistory.com

FMS는 6단계로 분류하도록 되어있는데, 6단계는 가장 높은 척도를 의미하고, 1단계는 가장 낮은 척도를 의미합니다.

6단계에서 아동은 모든 지면에서 독립적입니다.

평탄하지 않은 지면이나 길턱같은 장애물이 있는 곳이나 또는 복잡한 환경에서도 다른 사람의 도움이나 보행도구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5단계에서 아동은 평지에서 독립적입니다.

보행도구나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하지 않고, 계단을 오르기 위해서는 손잡이가 필요합니다.

만약 지지를 위해 가구나 난간, 보호대가 필요하다면 4단계로 평가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4단계에서 아동은 지팡이를 사용합니다.(한쪽 또는 양쪽)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3단계에서 아동은 목발을 사용합니다.

다른 사람의 도움이 역시 필요하지 않습니다.

2단계에서 아동은 보행기나 보행틀을 사용합니다.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 보조도구를 이용해 스스로 보행이 가능합니다.

 

1단계에서 아동은 휠체어를 사용합니다.

아동은 일어설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이나 보행기/보행틀의 도움을 받아 몇 걸음 걷는 것이 가능합니다.

C단계는 기기로, 집에서 기기로 이동합니다.(5m)

N단계는 적용사항이 없음으로, 예를들면 해당거리를 완전히 걸을 수 없습니다(500m)

 

지금까지 이렇게 보행 평가 도구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뇌성마비 아동의 보행평가에 대한 큰 틀이 잡히시나요?

공부하시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뇌성마비 타입에 따른 보행분류에 대해 심화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오늘도 게시글은 퀴즈로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정답은 댓글을 통해 확인해주세요!

 

* 뇌성마비 아동의 보행평가 방법 세 분류를 쓰시오

* 뇌성마비 아동이 수술 전 생체 역학적 동작분석을 반드시 해야 하는 이유는?

* 뇌성마비 아동의 보행평가 중 관찰평가도구의 대표적인 두가지는?

* 뇌성마비 아동의 기능적 이동척도 중 FMS는 GMFCS의 어떤 점을 보완한 평가인가?

* FMS의 6단계에 대해 설명하시오.

 

 

 

출처) 

소아물리치료편찬위원회(현문사2018),<소아물리치료 진단과 중재>, 143~145p

728x90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