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복습하는 물리치료사 올선입니다.
저번 게시글에서 의학적 중재방법에 대해 설명하며 뇌성마비 아동에게 보톡스(보툴리눔 독소)를 적용한다는 이야기를 드렸었죠? 오늘은 그 보톡스의 작용기전에 대해서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보톡스를 사용하는 것은 뇌성마비 아동에게 적용하는 의학적 중재 중 화학적 신경차단술 중 하나인 것인데요,
화학적 신경차단술은 보톡스 외에도 페놀주사, 에틸알코올 주사를 사용하기도합니다.
그 중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있는 보톡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보톡스는 혐기성 세균인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에서 생산되는 강한 신경독소입니다.
면역학적으로 일곱 가지 혈청형이 있으며, 이 중 A형이 가장 많이 연구되었고, 생물학적으로 작용시간이 가장 길고 강력하여 먼저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강직치료에 대한 이 주사법은 1988년 Koman에 의해 처음 시도되었고, 1990년대 뇌성마비 아동들을 대상으로 보툴리눔 독소의 안정성과 유영성에 대한 보고에 힘입어 현재 가장 많이 보편화되어있습니다.
효과로는 주사 후 보행양상의 향상, 일상생활 동작 수행의 효율성 증가, 통증의 완화, 근긴장도 저하, 기능의 향상, 관절가동범위의 증가, 대뇌피질 기능 활성 유형의 변화 등을 볼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침흘리기와 땀과다증과 같은 자율신경장애에도 효과가 있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보툴리눔 독소 주사는 근육에 직접 주사하여 주사 지점으로부터 약3~4cm정도 확산이 일어나므로 페놀과 알코올보다는 적용이 용이하고, 신경근육 접합부에 선택적으로 할 수 있어 안정성이 높습니다.
작용기간은 뼈대근육에 주사할 때는 3~4개월이고 침샘에 주사하는 경우는 약 9~12개월 동안 그 효과가 지속됩니다.
보툴리눔 독소의 단점은 비용이 비싸고, 반복적으로 적용할 경우 항체 면역거부반응이 생길 수 있다는 점입니다.
부작용으로는 주변 조직으로 확산되면서 나타나는 국소적인 부작용과 혈류에 들어가서 나타나는 전신적인 부작용이 있습니다. 경부 근 긴장 이상증에 대한 보툴리눔 독소 주사 후 삼킴곤란이 나타나는 예와 같이 독소의 확산에 의하여 주변 근육의 약화가 나타나기 쉬운데, 이러한 근력 약화는 정도가 심하지 않으며 수주 안에 회복이 됩니다. 전신적인 부작용은 감기증상이나 과다한 근 약화, 피로, 구토, 고열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보톡스의 작용기전은 다음의 그림들과 같습니다.
첫번째로, 보툴리눔 독소가 시냅스에 결합합니다.
두번째로, 보툴린눔 독소가 내부로 침투합니다.
세번째로 시냅스 내부로 침투한 독소로 인해 신경전달물질의 전달이 차단됩니다.
네번째로, 차단된 신경을 다시 연결하기 위해 신경이 새로운 가지를 내어 싹틉니다.
다섯번째로 이러한 과정을 통해 신경연결이 재건됩니다.
화학적신경차단술 외로도
강직의 조절과 간질의 조절을 위해 약물치료를 합니다.
강직조절을 의한 경구투여약물은 바클로펜(baclofen), 단트롤렌(dantrollen), 디아제팜(diazepam), 티자니딘(tizanidin)이 있습니다. 이 약물들의 작용기전 및 효과와 부작용, 사용량은 아래의 표와 같습니다.
항간질 조절을 위한 약물은 마이솔린(mysoline), 딜라틴(dilantine), 메자토민(mesantomin), 트리딘(tridione), 밀로틴(milontin), 파라딘(paradione), 페누론(phenurone), 다이아목스(diamox) 등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렇게 오늘은 뇌성마비 의학적 중재를 위한 약물사용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비록 국가고시에 문제로 출제되지 않는 내용이지만, 치료를 위해 약물을 사용하고 있는 아동들의 보호자분들의 궁금증을 해결해드리고 싶은 마음도 있고, 기초적인 의학적 중재 방법에 대해서도 아는 것이 공부에 도움이 되리라고 믿고 내용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이번 게시글도 퀴즈로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정답은 댓글을 통해 확인해주세요!
다음 게시글부터는 뇌성마비 물리치료 중재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보툴리눔 독소 신경차단술의 작용기전은?
*보툴리눔 독소의 뼈대근육 주사 시 작용기간은?
*보툴리눔 독소의 침샘 주사 시 작용기간은?
출처)
소아물리치료편찬위원회(현문사2018),<소아물리치료 진단과 중재>148~150p
26. 소아물리치료 - 소아관련질환 - 뇌성마비 보이타 치료원리 (1) | 2021.01.31 |
---|---|
25. 소아물리치료 - 소아관련질환 - 뇌성마비 보바스치료 (1) | 2021.01.30 |
23. 소아물리치료 - 소아관련질환 - 뇌성마비 보행분류 (1) | 2021.01.28 |
22. 소아물리치료 - 소아관련질환 - 뇌성마비 임상적진단 (1) | 2021.01.27 |
21. 소아물리치료 - 소아관련질환 - 뇌성마비 임상적진단 (1) | 2021.01.25 |
댓글 영역